아파트 가격이 하락한 경우 대부분 최고점 금액 대비 비교를 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부동산 정책이 가장 큰 문제점을 안겨 주었고 지금도 아파트 값 등 여전히 말들이 많습니다.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최고점 대비 하락 금액을 표준으로 하는 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얼마나 갑자기 올랐는지, 또 몇년동안 어떻게 올라서 최고가가 됐는지를 보고 기준이 되기도 하지만 최고가대비 하락 금액을 기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가격 변화에서 자주 인용되는 것은 KB매매가격지수 인데, 2022년 1월을 100으로 했을 때를 기준으로한 비율로 표시합니다. KB부동산에서는 부동산 매매가격지수등의 자료는 월1회, 아파트는 주1회 조사하여 매월 1일 및 매주 금요일 업데이트를 하고 있으니 시장 상황을 보실때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간 시계열의 내용은 한주간의 10가지 데이터 자료를 요약한 요약과 매매증감, 전세증감, 매매지수, 전세지수, 전용면적별 매매, 전용면적별 전세, 매수매도, 매매거래, 전세수급, 전세거래 등의 세부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최고점 대비 하락 금액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교하기가 쉽고 부동산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하는 가격비교라고 생각해서 뉴스나, 일반적은 공인중개사들은 최고점 대비 하락 금액 즉 얼마나 하락했냐를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하락율을 표현을 할때 고점 대비 몇% 하락하였다고 표현을 하는 것은 말 그대로 고점 대비로 표현을 하는 하나의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파트 가격의 경우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이 되고, 또한 금리나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출 규제등으로 유동성 있게 움직입니다. 다른 표현으로 전년대비, 또는 52주등 여러가지 표현으로 가격을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경우 고점 대비 많이 빠져도 예전보다 올라가 있는 부동산 지역도 많이 있습니다. 고점대비로 하게 되면 많이 빠진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래도 높게 형성이 되어져 있는 경우 즉 거품이 제거된 상태라 이해하시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네 보통 그렇게 표현합니다만 아파트 가격 하락을 비교할 때 최고점 대비 하락 금액은 직관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이지만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이나 경제적 배경 등을 충분히 고려하려면 다양한 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시장의 안정성이나 장기적인 전망을 더 잘 평가하려면 단기적인 최고점 대비 하락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있다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기준이 다른 문제이지, 어떤게 표준이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택가격동향은 전월 , 전분기, 지난해 동일월등을 기준으로 하여 기간분석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일반 뉴스에서 나오는 가격하락이 심각하다라는 등의 기사는 대부분 실거래가 중 최고점과 비교하여 하락률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상 뉴스등에서 사용하는 해당 방식은 일반시청자들이 볼때 체감 하락률은 더 크게 느껴집니다. 부동산 하락시기에서 전월대비 하락률은 크지않지만, 부동산 상승기던 시점의 최고가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현재가격 하락은 더 클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