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차곡차곡
차곡차곡

투자를 시작해보려는데 잘 모르겠는 게 있어 질문해요

먼저 ETF와 인덱스 펀드의 차이점은 뭔가요?
인덱스펀드는 ETF와 다르게 고액 거래만 가능하다고 알고 있는데 이게 맞나요?

그리고 S&P 500 ETF 연 평균 수익률이 약 10%라고 하는데
이건 만약 제가 100만원을 여기에 투자했을 때 분기별로 얼마의 배당을 받는 건가요?

또 레버리지 상품도 잘 이해가 안 되는데, 만약 S&P 500 ETF ×2 상품에 똑같이 100만원 투자하면 얼마의 배당을 얻는 건가요?

마지막으로 증권계좌로 투자한 자본도 자산이니까 세금을 걷을 텐데, 이건 어떤 방법으로 징수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덱스 펀드는 매매 의사를 표한 시점과 실제 매매가 이뤄지는 시점 간에 일정한 시차가 발생하는 반면, ETF는 이러한 시차가 없이 실시간으로 시세가 반영된다는 점이 큰 차이입니다.

    s&p500 etf 배당금은 운용사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보통 연배당률은 1.2~3%로 1주당 230~240원이라서, 100만원 투자했을때 약 2500원을 분기에 받으실 거예요.

    레버리지는 배당이 없습니다.

    분배(배당)금은 자동으로 세금이 계산되고 지급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와 인덱스 펀드는 기본적으로 비슷하지만, ETF는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어 유동성이 높고, 인덱스 펀드는 하루 한 번 거래가 가능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S&P 500 ETF와 레버리지 상품의 배당은 주로 연 배당으로 지급되며, 세금은 주식 매매 차익에 대해 발생하는 양도소득세로 징수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와 인덱스 펀드는 둘 다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금융 상품이지만, 운용 방식과 거래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ETF는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는 반면, 인덱스 펀드는 하루 한 번 정산된 가격(NAV)으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ETF는 소액 투자도 가능하고 유동성이 높은 반면, 인덱스 펀드는 즉각적인 매매가 어렵고 보통 최소 투자 금액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소액으로도 가입할 수 있는 인덱스 펀드가 많아져서 "고액 거래만 가능하다"는 것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S&P 500 ETF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10% 수준이지만, 이는 배당을 포함한 총수익률 기준이며 매년 일정한 수익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배당 수익률은 약 1.52% 정도로, 100만 원을 투자할 경우 연간 배당금은 약 1.52만 원 수준이 됩니다. 배당금은 분기별로 지급되므로, 한 분기에 약 3,750~5,000원을 받게 됩니다. 다만, 배당금 지급 시 15.4%의 세금이 원천징수되므로 실제 수령액은 이보다 조금 적습니다.

    레버리지 ETF, 예를 들어 S&P 500 ×2 ETF는 일반적으로 배당이 거의 없거나 매우 적습니다. 레버리지 상품은 선물, 스왑 등 파생상품을 활용해 지수를 추종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기 보유보다는 단기 매매에 적합하며 배당금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같은 100만 원을 투자하더라도, 일반 S&P 500 ETF에서는 일정 수준의 배당을 받을 수 있지만, 레버리지 ETF에서는 배당이 거의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증권 계좌로 투자한 자본도 과세 대상이 되며, 세금은 투자 상품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해외 주식형 ETF에 투자할 경우, 배당금에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 또한, 국내 상장된 해외 ETF를 매매해 얻은 차익에 대해서는 연간 250만 원까지 비과세이며, 이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22%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반면, 국내 주식형 ETF는 매매 차익에 대한 세금은 없지만, 배당소득세 15.4%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투자하기 전에 세금 구조를 잘 이해하고, 자신의 투자 목적과 전략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