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가 계속 높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생각보다 계속 높은 상태이고 트럼프는 내리려고하는데 파월은 그렇지 않은 것 같아 왜 계속 높은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계속 높은 이유는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히 존재하고, 노동시장도 견고해 금리를 쉽게 내리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연준 의장 파월은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우선시하며 신중한 금리 인하 접근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반면 트럼프는 경기 부양과 주가 상승을 위해 금리 인하를 원하지만, 연준은 정치적 압력보다 경제 지표를 중시합니다. 따라서 기준금리는 아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파월은 실제 데이터를 참고하고 결정하려고 하고 있고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해서 향후 단기적으로 물가 상승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연준은 민간기구로서 정부의 입김이 닿지 않는 독립적인 기구입니다. 즉 파월은 트럼프와는 다르게 현재 심리지수가 매우 위축되어 있고 기대인플레이션이 매우 높은 상황이며 향후 관세로 인해서 하반기 물가 상승우려가 매우 강한 상황입니다. 이에 대해서 파월은 신중하게 기준금리를 낮추는것은 시기 상조이며 우선 상황을 지켜보고 결정하겠다는 입장인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기준금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은 기준금리를 내리고 싶어하지만
현재 미국의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해서
쉽사리 기준금리를 내릴 수 없기에
계속 높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높은 이유는 현재 미국은 경기 침체 우려도 있지만, 인플레이션 우려도 있기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은 기준금리가 인하되는 순간 폭발적으로 커질 수 있기에 연준에서도 기준금리 인하를 쉽게 못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경제는 기준금리가 높음에도 꾸준히 좋은 경제지표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꾸준히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기준금리가 하락하게 된다면 물가가 튀기 때문에 이를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작년 11월부터 4.5%로 유지 되고 있습니다. 미국임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준이긴 하나 여러 여건 상 금리를 올리지는 못하고 물가 수준이 높아 금리를 쉽게 내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 판단됩니다.
트럼프는 금리를 내려 달러 가치를 더 하락시켜 국채 이자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데 너무 단순한 생각입니다. 미국 국공채 금리 인하 즉, 채권 가격 하락이 단기간 내에 발생하면 금융시장에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고 급기야 금융위기까지 번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