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완강한가오리184
완강한가오리184

애가 악을지르고 울며 고집을엄청피워요

20개월아기에요 아데노로 입원하고나서부터 엄청 울고불고 기본한시간 악을지르며 울고 던지고하는데 제가어떻게 해야할까요.

저도 사람인지라 부들부들 떨리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에 따라서 아팠을 때의 반응은 매우 천천만별입니다아이에 따라서 아팠을 때의 반응은 매우 천천만별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질문자님께서 조금은 아이에 대해서 너그럽고 포용하는 마음으로 아이를 사랑으로 감싸주세요. 컨디션이 좋아지면 그렇게 울며 고집 부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을 겁니다. 다만 아이가 문제행동을 한 것에 대해서는 아예 컨디션이 좋아진다음에 눈에 보면서 잘못된 행동에 대한 이야기는 반드시 하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아이가 갑자기 고집을 피우고 울어서 많이 당황스럽고 속상하셨겠어요.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다양한 변화와 스트레스를 겪기 때문에 때로는 이유 없이 떼를 쓰거나 고집을 피우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일시적일 수 있지만 부모님 입장에서는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모님께서는 감정을 자제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대처해야 합니다. 먼저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해보세요. 만약 아이가 아프거나 불편한 점이 있다면 이를 해결해주고, 불안감이나 두려움을 해소시켜줄 필요가 있습니다.

  • 20개월 아이가 입원하고부터 악을 쓰고 울고 던지는 등의 행동을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무래도 아파서 투정을 부릴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고집을 피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아직 아이의 입장에서 통증이나 잔존바이러스가 남아서 그럴수있습니다

    지금은 조금 힘들더라도 안아주고 다독이면서 안정감을 주시는것이 좋으며

    시간이지나고 컨디션이 회복되면 점차 좋아질수있을것입니다.

  • 아직 아파서그래요

    퇴원했어도

    1.잔존바이러스가남아서

    2.컨디션이회복되지않아서그럼

    3.다독이고안정감주기

    4.너무힘들면 돌봄도우미에게도움받기

    참고바랍니다

  • 아이아 소리를 지르며 고집을 피우는 이유는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소리를 지르며 고집을 피우는 것입니다.

    하지만 고집을 피우고 소리를 지르며 악을 쓰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이오니 아이가 악을 쓰면서 고집을 피운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악을 쓰면서 고집을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고, 왜 악을 쓰며 고집을 부리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 평소랑 다르게 아이가 아파서 우는 투정이네요.

    아파서 부리는 투정이니 너그럽게 안아주고 포용해 주세요

    평소에 안보여주던 휴대폰 게임도 시켜주시고,

    아플때 만큼은 너그럽게 대해주세요.

    시간이 지나고 컨디션이 좋아지면 아파서 부리는 투정은 사라질거 같습니다.

  • 아이들의 경우 자기가 하고싶은게 있을때 악을 지르고 울면서 떼를 쓸 수 있고 몸의 컨디션이 좋지 못할때 계속해서 짜증을 낼 수 있습니다. 입원을 하고 퇴원을 하셨겠지만 아이에게는 아직 기억에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심리가 불안정하다고 보시면 될것 같은데, 이때는 아이에게 이유가 있는 것으로 너무 나무라지 마시고 이기간에는 달래주시는게 아이에게 좋을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