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2.12.03

아이가 다른 아이들에 비해 울음이 많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가 또래의 아이들보다 훨씬 눈물이 많습니다

별일 아닌 것에도 울고, 서럽다고 울고, 불쌍하다고 울고

너무 자주 우는 것 같은데

울음을 조금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울음이 많은 아이는 보통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지금 아이는 불안이 높아진 상태입니다. . 아이들의 스트레스는 주로 불안이나 울음으로 나타납니다.
    우선 아이에게 특별한 스트레스 요인이 있는지 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아이에게 직접 물어볼 수도 있지만 아이들은 대답을 잘 해주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창피해서 말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야기하면 혼날까 봐 말하지 않기도 합니다. 아이가 스스로 말할 때까지 기다려주고 아이가 편안한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너무 잘 운다는 것은

    너무 소극적이고 감수성이 풍부해서 그런 것 같네요

    아이에게 운동을 시켜보시는 것도

    적극적 성향을 띄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자신감을 키워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

    자신감을 키우는 것도 노력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매일 하루에 한번이라도 아이가 자기자신을 칭찬한다던지 장점을 찾아보게하시고 아이에게 칭찬을 아낌없이해주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눈물이 많은것은 상황에 대해서 말로 표현하는것이 어려워서 나타날수있습니다.

    이러한경우 말로 표현하는것을 알려주시면 좋을수있으며

    표현이 늘어나다보면 우는것보다 말로써 감정을 표현할수있을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4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부모에 대한 의존감이 커서 우는 아이인 경우 아이가 우는 원인은 아직 성숙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말이 늦으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울음으로 대신하려 하고, 감정면에서 자립이 늦을 경우 자기 방어, 최후의 도피 장소로 울음을 택하게 됩니다. 아이가 너무 과잉보호를 받을 때, 혹은 관심을 받지 못할 때, 부모가 비판적이고 인정해주지 않을 때 아이는 자신감이 없어집니다. 아이들에게 자신감을 키워주려면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길러주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예민한 아이일 경우 감정선이 풍부하여 눈물을 자주 흘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눈물을 자주 흘린다고 잘못된 것은 아니나 부모 입장에서 아이가 다른 아이들에게 약한

    아이로 보여질까봐 걱정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울음이 많은 아이에게 강압식의 훈육은 금물입니다. 아이가 오히려 불안증세를 겪을

    수 있으니 동화책이나 영상 등을 활용하여 자주 울게 되면 생기게 되는 사례등을 보여주어

    스스로 자제할수 있도록 해주시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태어난 성격이고, 기질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점차 성장하면서 우는 빈도가 줄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는 아직 성장 시기고 우리보다 연약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 쉽게 울고는 합니다.

    자주 운다고 하여 아이 마음에 상처받도록 하지 마시고,

    잘 타일러서 아이의 마음을 지켜보시는 건 어떨까요? ^^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혹시 외동아 일까요?

    보통 외동 아이들의 특징이 울음이 대체적으로 많습니다.

    어릴 땐 유치원이든 가정이든 모든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랐기 때문에 부족함이 전혀 없지만,

    하지만 학교를 다니면서 부터는 나의 영역이 아닌 다른 것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정말 많이 받기 때문이지요

    특히 마음이 여린 친구들이 말로 표현하지 못하고 서럽게 우는 게 많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아이가 울면 일단 관심을 주지 않는 게 좋습니다.

    대신 아이의 울음이 그치면 그 때 바로 따뜻한 관심을 보여주며 너가 많이 힘들었구나!

    라며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 주셔야 합니다.

    다음에도 비슷한 상황이 되면 우는 것 말고 무슨 방법이 좋을지 아이에게 찾아 보라고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칭찬을 많이 해줌으로써 자존감을 키워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우는 것이 정답이 아니며 해결책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알려주셔야 도움이 되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