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은혜로운큰고래114
은혜로운큰고래11422.09.17

5살여아 소리지를때 어떻게해야할까요?

이제 6살근접하니깐 딸아이가 소리를지르는데.. 뭔가 짜증나거나 화가날때 그런행동을하는데

저는 훈육을 하고싶은데.. 와이프는 그냥냅두라고하고..

혼내는건싫고 잘 알려주고싶습니다~ 노하우나 방법좀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신의 감정의 표현에 대해서 잘 되지 않았을때 이러한 행동이 나타날수있으며

    이러한것은 훈육의 대상으로 볼수는 없으며

    감정을 잘표현하는 법을 알려주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화가 나거나 짜증의 표현하는 방법을 소리지르지 않고 표현하는 방법을 일려주세요. "너무화나요 ~~해서 짜증나요. 이만큼 짜증나요"등으로 짜증이나 화남의 표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0~100사이에 단계적으로 표현하더럭허면 소리를 칠깨보다 자신의 감장표현을 언어적으로 할 수 있을 거예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소리 지르는 아이 훈육법

    1. 아이에게서 멀지도 가깝지도 않는 곳에 앉아 아이를 지켜본다

    2. 아이의 도발에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3. 엄마가 요구한 행동을 아이가 할 때까지 자리를 뜨거나 다른것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4. 아이가 좀 진정되면 “‘ 항상 마음대로 할 순 없어, 안되는 건 안되는 거야”. “마음대로 안된다고 소리지르는 건 안되는거야” 라고 아이에게 단호하게 말하여준다.

    5. 훈육이 끝나면 아이를 안아준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17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를 때는 먼저 아이의 화가 나거나 속상한 마음을 읽어주고 소리를 지르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잘 모르겠으니 소리 지르지 않고 이야기를 하라고 단호하게 이야기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지요

    평소 부모님께서 집에서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시지 않는지 점검해 볼 필요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를 땐 뭔가 요구하는 게 들어주지 않을 때 소리를 지르는 것 같아요.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고 차분하게 아이에게 말로 할 수 있도록 지도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올바른 훈육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행동을 혼내는 것이 훈육이 아닙니다. 따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였을 때 그 행동이 왜 잘못된 행동인지 정확하게 지적해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지적을 해줄 때 단호하고 명료한 어조가 중요합니다. 마음이 아프겠지만 훈육시에는 말투도

    중요합니다. 다만 올바른 훈육 후에는 훈육에 대한 이유를 따뜻한 어조로 설명해주시고 가볍게 안아주시면서

    아이가 부모가 자신을 훈육하는 것이 사랑해서 하는 것이라고 느끼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감정표현 방법을 잘 몰라서 소리를 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성장하며 감정표현 방법들을 습즉하고 달라지지만 정도가 심하다면 소리지르는 것에 대해 안된다는 것을 명확히 알려주셔야 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나거나 화가 날때 소리를 지른다고 하신다면

    그러한 것을 무조건 혼내거나 그냥 냅두시는 것이 아닌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훈육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ㅅ브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소리를 지르는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르고 감정 표현을 이런식으로 계속한다면

    아내분과 상의 하에 아이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인지시켜 줘야 합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를 때 앉혀놓고 잘못된 부분을 스스로 생각하게 하세요.

    그래야만 아이도 잘못된 것을 알고 소리를 지르지 않을 것이니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교정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소리를 지르는 상황이 발생시에 적절한 훈육을 해주셔야 합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