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똥이 잘 안지워지는 이유가 뭔가요?
나무 가까운 곳에 주차하면 거의 맞는데 왜 새똥은 지우기가 쉽지 않을까요? 무슨 성분이 있어서...
보통 야생동물은 이런 케이스에서는 영역표시던데 새들이 영역표시도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새똥이 잘 지워지지 않는 이유는 새똥의 독특한 화학적 조성 때문입니다. 새똥은 단순한 배설물이 아니라, 새의 신진대사 과정에서 나오는 소화물과 소변이 혼합된 것입니다. 이 때문에 새똥은 일반적인 오염물질보다 더 강하게 표면에 붙는 성질을 가집니다.
새들은 신장 기능이 포유류와 달라 요산(uric acid)형태로 질소를 배출합니다. 요산은 상대적으로 불용성이고 물에 쉽게 녹지 않는 특성이 있어, 새똥이 마르면 단단히 굳어지고 표면에 강하게 부착됩니다. 또한 요산은 pH가 낮아 산성에 가까운 성질을 띠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페인트와 반응하여 페인트 표면을 변색시키거나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산 외에도 새똥에는 섬유질과 단백질 등이 포함되어 있어 끈끈하고 고착되는 성질이 강합니다.
새들이 주차된 차량 위에 배설물을 남기는 것이 영역표시를 위한 것은 아닙니다. 새는 본능적으로 높은 곳에 앉는 습성이 있어, 가로수나 전선, 간판 위에서 자주 머무르며 여기서 자연스럽게 배설을 합니다. 주차된 차량이 이러한 장소 근처에 있으면 새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실제로, 새는 포유류와 달리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특정 물질을 배설하는 행동을 하지 않으며, 배설물은 단순히 소화와 배출 과정의 결과물일 뿐입니다.새똥에는 요산이라는 강한 산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자동차 도장면을 부식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랜 시간 방치하면 도장면에 착색되거나 흠집을 내는 원인이 됩니다.
또 새똥에는 단백질 성분도 포함되어 있어 건조되면 딱딱하게 굳어 도장면에 강하게 달라붙습니다. 이러한 단백질 성분은 일반적인 세정제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햇빛에 노출되면 새똥의 산성 성분이 더욱 강해지고, 도장면과의 화학 반응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 제거가 더욱 어려워집니다.
사실 새 똥은 영역표시에 의미보다는 몸을 가볍게 하여 날기 위해 비행 중에 배설을 하여 날기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새똥은 대략 pH 3-5 정도의 산성을 띄고 있어서 지우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햇빛에 장시간 방치되면, 수분이 마르면서 산성이 더욱 강해져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새똥이 잘 안 지워지는 이유는 그 안에 강한 산성 물질과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새똥은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과 요산이 섞여 있는데, 요산은 특히 산성이 강해 차 표면에 붙으면 페인트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게다가 건조되면 딱딱하게 굳어져서 물로만 세척하기 어려워집니다. 나무 가까운 곳에 주차하면 새들이 그 위에서 먹이를 먹거나 쉬다가 배설하기 쉬워 맞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들은 영역 표시보다는 먹이 섭취 후 배설 행동 때문에 이런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