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금리 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되나요?
기준금리가 인하가되면 어떤분야에 어떻게 적용이되나요?
금리인하가 무조건적으로 좋은건 아니겠죠??
상반되는 상황은 어떤게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상대적으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게 됩니다.
예를들어 기존에는 1억을 빌릴 때 비용이 500만원이 들었다고 하면 이 비용이 300만원으로
줄어들게 되면 더 많은 사람들이 돈을 상대적으로 쉽게 빌리게 되고 그 돈이 시장에 풀리면서
내수 경제에 훈풍을 불어올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를 인하했을 때 부작용은 환율의 상승이나 물가의 상승을 수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물가 인상이라는 부작용을 감수하고서라도 금리를 내려야 하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경제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시장에 유통되는 화폐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에 예금되었던 예금은 이자율이 낮아짐에 따라 유출이되어 시장으로 나오게 되며 반대로 대출금리 인하는 대출 수요를 증가시켜 시중에 화폐를 증가시키게 됩니다.
다만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량이 증가할수록 화폐가치가 떨어지게 되어 물가상승 위험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초단기물금리 입니다 즉 이는 금융기관의 차입금리에 적용되고 이들간의 차입금리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인해서 시장금리에 영향을 주는것입니다
시장금리는 장기금리로서 초단기금리인 기준금리인하가 영향을 주게 되서 하락하게 되면 시중의 신용대출이나 차입금리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기업과 가계의 조달금리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로인해서 실물경제 신용유동성이 증가하고 이로인해 투자가 증가하거나 주택대출증가로 주택수요증가로 부동산가격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즉 시중의 지나친 유동성증가는 물가나 부동산 가격상승이나 또는 좀비기업이 파산하지 않고 연명하며 구조조정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 금리 인하는 경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그 효과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포함합니다. 금리 인하는 대출 비용을 낮춰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를 촉진합니다. 낮은 이자율은 사람들이 주택, 자동차 등 고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기업이 설비 투자를 늘리는 것을 장려합니다.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면 경제 활동이 활발해져 경기 침체를 방지하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격 상승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낮은 이자율은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자산 시장에 투자하도록 유도합니다. 금리 인하는 자국 통화 가치를 하락시켜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수출 중심 국가의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과도한 금리 인하는 시장에 돈이 많이 풀리게 하여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의 구매력을 약화시키고 경제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시중에 통화량이 늘어나 가계 소비가 촉진되고 기업의 투자도 활성화되면서 경제 성장 가능성이 커집니다. 부작용으로는 통화가 늘다보니 화폐의 가치보다 재화의 가치가 커져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환율도 상승해 수입 물가가 급등할 우려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일반적으로 대출 이자 감소에 따른 소비 촉진과 기업 투자가 일어나고 그로 인한 주식시장 상승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통화가치가 하락해 인플레이션이 발생 가능하고 자산 거품이 형성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크게 나누자면 부유층과 서민충이 있습니다 정치권에서도 그렇게 둘을 나누어서 정책을 펼치지요 노동자 편과 기업 편 이렇게 말입니다 고금리 상황에서 부유층들은 이자 소득까지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서민 층들은 가계 대출 등 때문에 어려워지게되지요
금리가 내려가서 좋아할 사람들은 서민들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준 금리가 인하되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준 금리가 인하하게 된다면 경제는 일반적으로
부양이 되어서 잘 돌아가게 됩니다.
다만, 기준 금리가 계속 유지되면
시중에 돈이 많이 들어와서 결국 물가 인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이유는 경기 침체가 와서 경기 부양을 하겠다는 이유가 큽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예적금 대출금리 모두 내려가니 저축이 줄고 대출이 증가하죠 개인들이 지출을 늘리고 기업은 대출받아서 투자를 늘리니 내수 경기 부양차원에서 하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물가상승의 우려가 있는거죠 그래서 반대로 기준금리 인상을 하는 이유는 시중에 물가 너무 높다고 생각하면 기준금리를 인상해서 물가 하락을 유도한다고 생각하심 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내리게 되면 시중의 통화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경제가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화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물가가 다시 오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