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기능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자격증이나 전문분야쪽으로 보면 기사 라고 하는사람이있고 기능사라는 사람이있는데
기사와 기능사의차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기사와 기능사의 차이는 주로 자격증의 수준과 역할에서 명확해집니다. 기사는 기술 업무의 계획, 관리, 설계 등을 담당하며, 전문성과 책임을 요구하는 직무에 적합합니다. 반면, 기능사는 주로 제작, 설치, 유지보수 등 현장에서 손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격증 시험의 난이도와 요구되는 교육 수준 또한 기사 쪽이 더 높습니다. 즉, 기사는 고급 기술직, 기능사는 실무 직무에 알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성훈 전기기능사입니다.
기사와 기능사의 차이는 크게 법정 선임 가능 여부에서 나타납니다. 공사 현장이나 시설 등에서 전기 설비가 있는 경우, 전기안전관리자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전기기사는 자격증 취득 직후부터 1,500kW 이상의 전기설비에 선임될 수 있으며, 실무 경력에 따라 선임 범위가 확대됩니다. 2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있으면 모든 전기설비에 대해 선임이 가능하며, 특히 100,000V 이상의 고압 설비에도 제한 없이 선임될 수 있어 법정 책임과 관리 범위가 가장 넓은 자격입니다.
전기산업기사는 자격 취득 후 2년의 경력이 있어야 2,000kW 미만 전기설비에 선임될 수 있으며, 4년 경력이 쌓이면 2,000kW 이상의 전기설비도 관리 가능하지만, 100,000V 이상의 설비에는 선임할 수 없습니다.
반면, 전기기능사는 법정 선임이 불가능하며, 현장에서 직접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자의 역할을 맡습니다.
이처럼 전기기사는 법적 책임을 동반하는 관리자의 역할로, 산업기사와 기능사보다 전문성과 선임 가능 범위에서 우위를 점합니다. 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학력, 경력 등의 조건은 각 등급별로 다르며, 정확한 정보는 큐넷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자격증의 경우 기능사 -> 산업기사 -> 기사 -> 기능장 -> 기술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능사는 학력과 나이제한 없이 누구나 취득할 수 있는자격증이며
기사는 기능사보다 상위 자격증으로 취득자격조건이 있습니다.
또한, 기능사와 기사의 차이는 그 분야에서 할 수 있는 업무와 권한이 구분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기사와 기능사는 자격 시험 난이도 자체가 차이가 있습니다.
기사의 경우 중급 기술자 수준의 자격증으로 실무 경험과 이론적 지식이 요구가 되면 기초적인 관리 능력과 기술력을 검증할 수 있으며, 기능사는 초급 기술자 수준의 자격증으로 기초적인 실무 능력을 검증하는 자격증 입니다. 기능사의 경우 응시자격 또한 제한이 없어서 누구나 응시할 수 있지만 기사는 일정 자격 조건을 갖춰야 시험에 응시가 가능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기능서는 응시 자격이 없고 누구나 시험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실무를 3년 정도 하게 되면 기사를 볼 수 있는 응시 자격이 생기고요 기능사가 현장 업무를 담당한다면 기사는 그 부분에 있어서 인력과 유지보수 건에 대한 관리 감독을 맡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동선 전기기사입니다.
기사는 기능사보다 난이도가 있고 더 인정을 받습니다. 기사는 사무직이라고 한다면 기능사는 현장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기 시험도 기능사는 배전반을 제작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기능사와 기사의 큰 차이점은 전기설비를 설계하는 분야이거나 시공하는 분야로 나누어집니다. 기본적으로 기사는 전체적인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한 자격증이고 기능사는 이를 토대로 판넬제작 및 기타 시공과 관련된 업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