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5

멍 때리는 것은 건강에 좋나요?

멍 때리는 거는 건강에ㅜ좋은 건가요? 아무 생각도 안 해서 뇌를 쉬게 해준다는 면에서는 좋은데 아무 생각을 안해서 뇌 기능이 퇴화 한다고 생각하면 안 좋은 거 같은데 좋은가요 나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23.03.15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멍 때리는 것은 정신적인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많은 정보를 받고 처리하다보면 뇌가 지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잠시 멍하니 되어 아무 생각없이 머리를 비워주는 것은 뇌에게 새로운 자극을 주지않는 것입니다.

    또한, 멍할 때는 심호흡이 느려지고 근육이 이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은 스트레스를 줄여주는데 도움을 주며, 집중력과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습니다. 또한 멍할 때는 뇌가 휴식을 취하게 되어 뇌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상적으로 긴 시간 동안 멍하니 있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적당한 양의 휴식이 필요하지만, 지나치게 오래 휴식을 취하거나 대체로 멍하니 지내면 심리적, 사회적, 물질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양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뇌 건강에 이득이 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보다는 운동을 열심히 하거나 아니면 차라리 차는게 더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일시적으로 멍때리는 것은 뇌에 휴식을 제공하여 스트레스를 줄이고 집중력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무의식적으로 멍때리는 것은 뇌 기능이 퇴화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멍때리는 것이 건강에 좋은지 나쁜지는 그것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고,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휴식이나 리프레시로서, 짧은 시간 동안 멍때리는 것은 오히려 생산성과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멍때리거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일을 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멍때리는 것은 뇌 기능이 퇴화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멍때리는 것은 적당한 시간과 빈도로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멍때리는 동안에도 새로운 아이디어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하거나 창의적인 과제를 생각해보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뇌 기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멍때리기는 일종의 뇌의 쉬는 시간으로서, 일상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마음의 안정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멍때리기는 건강에 좋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오래 앉아있거나 틀에 박힌 생각에 빠져있는 경우에는 신체적으로 불편을 느낄 수 있으며, 마음에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생각이 드는 경우에는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멍 때리는 것은 우리의 건강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우선, 멍 때리는 것은 우리의 마음을 진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뇌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마음이 수면 모드로 전환되어 일상적인 스트레스와 감정의 압박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또한, 멍 때리는 것은 창의성과 상상력을 증진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집중하거나 일을 해결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뇌가 다양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생각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멍 때리는 것이 무조건적으로 항상 건강에 좋은 것은 아닙니다. 너무 오랫동안 멍 때리거나 생산적인 일을 해결하지 않는 경우, 일상 생활에서 중요한 일들을 놓치거나 불안과 우울증 같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멍 때리는 것은 적절하게 균형을 유지하면서 시도해야 합니다. 멍 때리는 것이 금방 지나가지 않는 경우, 문제가 있는 것일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멍때리기 대회 효과는 창의력, 집중력, 뇌휴식에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인간의 뇌는 많이 사용을 하게되면.. 멍때리기를 통해서 뇌를 최적화 시켜요.


    중고딩때 공부하다가 갑자기 멍해 있는 아이들이 있죠.


    유딩 초딩 수업하다가 애들이 잠을 자거나 멍해 있는 애들이 있죠.


    고딩때 선생이 야야야.. 지금이 멍해 있을때야 집중안하지.. 그래서 대학, 특목고 가겠어..탁탁탁..


    어른이 되고 멍때리기는 사라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