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는 상대적으로 길양이가 많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길을가다보면 길양이는 흔히 볼 수 있는동물인데요. 개는 보통 주인이 있는 경우가 많고 항상 주인과 같이 산책하는것이 보통인데, 고양이는 집없이 이곳 저곳에서 많이 보입니다.
우리나라에 이렇게 길양이가 많은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통상 한국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길고양이 수가 적은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고양이는 가축분류보다는 생태계의 일원으로 야생동물로서 이중 일부가 집에서 키워지고 있는 상태인것입니다.
집고양이가 길로 나온게 아니라 길고양이 중 일부가 사람이 키우고 있는 상태라고 보는게 합당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길고양이가 많은 것은 아무래도 길에서의 생활환경에서 잘 적응하기 때문입니다.
길거리에 먹거나 마실 수 있는 장소가 많고
천적이 없으며
몸을 피하고 비바람을 피할 장소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시간내어 좋아요 추천 한번 씩 눌러주시면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잘못 아시는 것이 있는데요 우리나라가 유독 길거리에 고양이가 많은 것은 아닙니다. 일본과 호주에도 어마어마한 길고양이 개체수가 있죠
이 두 나라나는 매년 길고양이나 야생고양이를 백만마리씩 살처분을 시킬정도로 고양이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예신 수의사입니다
지금은 전국적으로 정보가 길냥이들을 잡아서 중성화 수술을 해주고 있는 과정에 있습니다 그래서 차츰차츰 길냥이가 조금은 줄어들고 있는 것 같지만 그래도 여전히 자연 번식력은 대단하기 때문에 많이 줄어 들기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먹이가 좋아지면 번씩은 더 늘어나게 되어 있습니다 먹이가 적을 때는 번씩 기간이 길게 내지만 먹이가 풍성해지면 번식 기간이 짧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고양이가 출산하여서 성체가 되기까지는 5개월에서 6개월 정도 걸립니다 그리고 짝짓기를 통하여 아기를 낳게 되는데 이 반복이 무한 반복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연 속에서 아이들의 본능은 무서울 정도로 지켜 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만히 놓아주면 아마 고양이 천지가 될지도 모릅니다 그만큼 번식 본능이 대단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