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토콘드리아라는게 무엇인가요?
티비를 보는데 미궁에 빠졌던 어떤 사건이 미토 콘드리아라는 갈로 범인이 밝혀졌다고 하다라구요.
미토 콘드리아는 엄마한테만 받는 유전적 요소라고 하던데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에 존재하는 세포소기관으로 여러 유기물질에 저장된 에너지를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통하여 생명활동에 필요한 아데노신삼인산(ATP)의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때문에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발전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25%의 세포질을 차지하고 있으나 그 크기와 수가 세포의 종류와 역할에 따라 다양합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속에서 발견되는 작고 독립적인 세포 기관으로, 에너지 생산의 주요 장소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호흡 과정을 통해 ATP(아디노신 삼인산)이라는 에너지 분자를 생성하는데, 이는 세포의 모든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에너지원입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자유 라디칼과 같은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도 합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세포와 생체의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 에너지 생성 반응인 세포 호흡의 중추적 역할을 한다.1) 포도당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세포 호흡은 먼저 세포질에서 일어나는 해당과정(glycolysis)에서부터 시작한다. 이후, 해당과정을 통한 포도당의 분해산물인 피루브산이 미토콘드리아의 기질로 들어와 산화된다. 그 결과물 아세틸조효소(CoA)가 미토콘드리아의 기질에서 일어나는 구연산회로(citric acid cycle; TCA cycle; Krebs cycle)에 들어간다. 이후, 구연산회로를 통해서 아세틸조효소의 탄소결합이 분해되면서 얻어지는 NADH와 FADH2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전자전달계에서 전자를 넘겨준다. 이 전자들은 전자전달계를 지나서 최종적으로 산소에 전달되어 물을 생성한다. 이때, 내막 내외에 수소이온 농도차이가 발생하고 이 농도차이를 이용하여 내막에 존재하는 ATP 합성효소가 ATP를 기질 쪽으로 만들어낸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진핵생물의 세포 안에 있는 세포 호흡을 담당하는 세포 소기관입니다.
우리몸에서 몸이 움직일 수 있게 에너지인 ATP를 만들어내는 곳이 바로 이곳 미토콘드리아입니다.
그리고 말씀처럼 미토콘드리아는 자신만의 DNA를 가지고 있으며 DNA는 모계로만 유전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어머니로부터 자식으로 미토콘드리아 DNA는 유전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진핵 세포들이라면 가지고있는 세포내 호흡기관입니다. 타원형으로 생겼으며 내부에는 크리스타라고하는 주름이 많습니다.
1차 포도당을 세포 외부에서부터 흡수하여 전자전달효소를 통해 산소를 최종 전자 수용체로 이용하여 ATP를 생산합니다. 즉 세포가 움직일 수있게하는, 다시말해 살아있도록 유지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에너지 원산지인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진 세포 소기관으로, 인체의 대부분의 세포에 존재합니다. 이 DNA는 엄마로부터만 전달되며, 아버지로부터는 전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는 인간의 유전적 특성 중 하나이며, 인간의 진화와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대사 과정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이상이 발생하면 다양한 질병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미토 콘드리아 DNA는 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 안에 있기 때문에, 세포핵 DNA와는 다르게 수명이 짧아 변이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DNA는 진화적인 변화를 추적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