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소운동에대해 궁금해서질문합니다.
무산소운동도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되는지궁금합니다
단거리달리기등 낮춘다는 연구결과도 있어서여쭈어봅니다. 유산소도 좋지만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무산소운동은 일반적으로 근력을 강화하고 근육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인 운동 방식으로, 단거리 달리기와 같은 고강도의 짧은 운동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무산소운동이 직접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데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지만, 꾸준한 운동을 통해 전반적인 심혈관 건강이 개선되고 몸의 체지방률이 감소할 수 있어 간접적으로 혈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무산소운동과 더불어 유산소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혈압 관리와 심장 건강에 더 많은 이점을 줄 수 있으니, 운동 계획을 세울 때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을 균형 있게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운동이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무산소운동을 시작하기 전 자신의 건강 상태와 목표에 맞는 운동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무산소 운동인 근력 운동을 하면 혈압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고강도 하지근력 운동을 할 경우 수축기 혈압이 48mmHg, 이완기 혈압이 35mmHg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동을 시작하면 처음에는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혈압이 높아지지만, 운동을 계속하면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어 혈관이 확장되고 혈압이 낮아집니다.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을 병행하면 고혈압 발생 위험이 44%까지 낮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혈압을 낮추는데는 근력운동같은 무산소운동보다는 유산소운동이 더 효과적인게 맞습니다.
운동시에 심박수와 혈압이 높아지고 교감신경이 항진되는 운동이니까요.
반대로 안정시에는 부교감 톤이 증가되면서 혈압이 떨어지는거죠.
예전 연구들에서는 유산소운동만 혈압을 떨어트리는 효과가 있다는 결과들이 많았는데 최근에는 근력운동도 혈압을 떨어트려준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있는 상태입니다.
매우 높은 고혈압에서는 근력운동시에 혈압이 너무 많이 올라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무산소운동이 유산소운동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혈압 감소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의 분석 결과, 무산소운동 그룹은 유산소운동 그룹보다 혈압이 1.7mmHg 더 낮았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유산소 + 무산소 무리하지 않는 선상에서 혈압 관리에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짠음식을 피하는 것도 평균적으로 10 정도의 혈압 강하 효과 있음을 추가로 말씀드립니다. 답변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무산소운동도 혈압 감소에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유산소 운동만큼 직접적이지는 않습니다. 무산소운동은 혈관건강과 심장기능을 개선하여 장기적인 혈압조절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근력운동은 혈관 탄성을 높여 혈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근육량 증가로 기초 대사량을 높여 체지방 감소에 기여하면서 혈압 조절에 좋은 영향을 줍니다. 다만 무산소 운동 중 과도하게 힘을 쓰는 경우 일시적으로 혈압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운동 강도는 적절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특히 고강도 운동은 고혈압 환자에게는 위험할 수 있어 의료진과 상의가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를 잘 보았습니다.
무리가 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무산소든 유산소든 혈압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꾸준히 운동을 하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