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잘생긴왕나비120
잘생긴왕나비120

어깨타박상 MRI판독 좀 부탁드려요

성별
여성
나이대
47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MRI shoulder image without contrast.

Findings)

1. Joint effusion: Unremarkable.

2. Rotator cuff:

a. Mild tendinosis in SSc, SST and IST.

3. Long head of biceps tendon: Normal in position, size & signal

4, Glenoid labrum: No tear, detachment, or other abnormalities shown

no paralabral cysts

5. Subacromial/subdeltoid bursa: Normal without evidence of bursitis

6. A-C & glenohumeral joints: AC joint arthrosis.

7. Osseous structures:

a. T1 low, T2 high SI in left clavicle,

8. Other abnormalities: None

Nomenclature.

SST : supraspinatus tendon.

IST : infraspinatus tendon.

SSc : subscapularis tendon.

BT :biceps long head.

Conclusion)

1, Mild tendinosis in SST and IST,

- DDx. intrasubstance tear in SST.

2. T1 low, T2 high SI in left clavicle.

-> R/O esosinophilic granuloma.

Rec) clinical correlation and follow up.

정형외과쌤이 관절에 물이 조금찼고 빼낼정도는 아니고 회전근개도 괜찮고 쇄골어깨 타박상이라고 하셨는데 어떤지요? AC관절염이 있다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MRI검사결과로는 관절내 물은 미미하게있기때문에 뺄정도는아니고 회전근개에 경미한 건염이있으며 SST에 미세한 찢김의 가능성이있긴하지만 큰손상이없기때문에 괜찮은걸로보입니다

    AC관절에 관절염이있는걸로보이고 다른 문제는없는지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수있습니다 병원에서 지속적으로 상태를체크하면서 치료를꾸준하게받는걸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작성해주신 mri결과의 내용에 따르면 극상근과 극하근의 건병증, 쇄골부위에서 확인되는 호산구성 육아종의 의증이 주 소견인데요, 이는 전문의를 통해 정확한 소견을 들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1. Joint effusion: Unremarkable.

    관절내 물은 거의 차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2. Rotator cuff:

    a. Mild tendinosis in SSc, SST and IST.

    회전근개에서 견갑하근, 극상근, 극하근 힘줄에 경미한 이상이 관찰됩니다.

    3. Long head of biceps tendon: Normal in position, size & signal

    이두근은 정상입니다.

    4, Glenoid labrum: No tear, detachment, or other abnormalities shown

    no paralabral cysts

    어깨 관절순에는 이상소견이 보이지 않습니다.

    5. Subacromial/subdeltoid bursa: Normal without evidence of bursitis

    견봉하 및 삼각근하 윤활낭에 염증 소견 보이지 않습니다.

    6. A-C & glenohumeral joints: AC joint arthrosis.

    견봉쇄골관절에 퇴행성 변화 확인됩니다.

    7. Osseous structures:

    a. T1 low, T2 high SI in left clavicle,

    왼쪽 쇄골에 T1 저음영 T2 고음영 확인됩니다.

    8. Other abnormalities: None

    그 외 이상 소견 없습니다.

    Conclusion)

    1, Mild tendinosis in SST and IST,

    - DDx. intrasubstance tear in SST.

    2. T1 low, T2 high SI in left clavicle.

    -> R/O esosinophilic granuloma.

    Rec) clinical correlation and follow up.

    결론적으로 회전근개의 경미한 퇴행성 변화가 있는데 극상근의 경우 내부 파열을 감별해봐야 겠습니다. 왼쪽 쇄골에 보이는 이상 음영의 경우 호산구성 육아종 감별 필요합니다.

    회전근개에 확실한 파열 소견 없고 경미한 건증이 있으며 AC관절염은 확인됩니다. 쇄골 타박상도 있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큰 문제는 없으니 약물이나 스트레칭, 물리치료 등으로 회복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어깨 MRI 결과가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관절 내 물이 조금 있는 상황이지만, 특별히 문제 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회전근개의 힘줄에는 약간의 염증이나 손상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경우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 있는 상태로 보입니다. 질문자분의 검사 결과에서는 장두이두근 건이 정상 위치와 크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관절 와순에도 눈에 띄는 손상이 없습니다. 아울러, 서브아크로미얼 및 서브델토이드 점액낭도 정상으로 보입니다.

    AC 관절염, 즉 견봉쇄골 관절에 약간의 관절염이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는 견봉쇄골 관절에 관절염 변화가 있는 것을 뜻하며,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변화입니다. 또한, 보고서에 명시된 쇄골의 MRI 신호 변화는 주로 염증이나 기타 드문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어 임상적인 차원에서 추가적인 관찰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 부분은 병원에서 담당 전문의와 함께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회전근개엔 큰 이상이 없고 약간의 힘줄염만 보입니다 쇄골아 타박상 흔적이 있고 염증이나 다른 병변 가능성도 있어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 Ac관절염은 맞으며 연령이나 사용량 따라 흔히 나타나는 소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극상근 및 극하건 견갑하근에 모두 경미한 건증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퇴행성 변화로 반복된 사용으로 인한 미세한 손상으로 보입니다. 파열은 아니고 회복 가능한 염증이나 변성으로 보입니다.

    AC관절 같은 경우 쇄골끝과 견봉사이의 관절로 쇄골 끝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자주 어꺠를 쓰거나 무거운 짐을 들거나 하는 분들에게 자주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관절액이 조금 차 있지만 큰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이며 힘줄 탈구나 파열은 없고 윤활막염도 없고 파열 및 낭종도 없으신걸로 판단 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네, MRI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형외과 선생님이 말씀하신 내용과 거의 일치합니다. 회전근개 힘줄(특히 supraspinatus, infraspinatus, subscapularis)에는 경미한 염증성 변화(=tendinosis)가 있지만, 찢어지거나 큰 손상이 있는 건 아니에요. 그리고 관절 안에 물이 약간 있지만, 염증이 심하거나 주사로 빼야 할 정도는 아니라는 의미고요. 회전근개 파열이나 관절와순(랩럼) 손상도 없고, 이두근 힘줄(BT)도 정상이에요.

    다만 AC관절(쇄골과 어깨뼈 사이의 관절)에 관절염(arthrosis) 소견이 있습니다. 이건 잦은 사용, 충격 또는 나이와 관계된 퇴행성 변화일 수 있어요. 또 쇄골에 T1 저신호, T2 고신호 변화가 보이는데, 이는 타박상 또는 부종, 드물게는 염증성 병변일 수 있어요. 그래서 방사선과에서는 "이오시노필성 육아종(r/o eosinophilic granuloma)" 같은 드문 가능성까지 언급한 거고요. 하지만 실제로는 단순한 타박상일 가능성이 가장 높고, 그렇기 때문에 임상 경과를 지켜보면서 필요하면 추적 검사를 하자는 권고를 한 겁니다.

    요약하면 큰 이상은 없고, 현재 증상에 맞춰 보존적 치료를 이어가는 게 적절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