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매월 가정의 평화를위해 꼬박꼬박 교회에 십일조를 하고있습니다 개신교에서 십일조는 꼭해야하는 규정이 있나요?

개신교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은 꼭 십일조를 하여야하나요 기독교집안이라서 굳이 알아보지않고 또 가정의 평화를위해 십일조를 하고있지만 십일조의 근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회에는 아주가끔씩 가지만 십일조를 해야만 합니다. 성경에 나와 있다고 합니다.

    더많이 벌수 있다는데 해야겠지요,

  • 한국 개신교에서 가장 뜨거운 질문입니다.

    믿음으로 하는 것은 말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믿음도 없는 상태에서 교회당에서 거의 강압적으로 강요하는,

    십일조를 복 주시는 믿음의 수단으로 설교한다면

    십일조는 하지 않아야 합니다.

    기복신앙은 정상적인 신앙이 아닙니다.

    세속화된 신앙입니다.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 된 것 자체가 복입니다.

    이 복이 가장 신령한 복입니다.

    신약 성경에서는 십일조를 하라는 말씀은 없습니다.

    그런데 왜 십일조를 해야 할까요?

    교회 재정이 투명하게 사용되며,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가난하고, 힘없는 외국인과 고아와 과부와 같은

    이들에게 가장 우선으로 사용된다면 하여야겠지요.

    아마 이런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울 것입니다.

    종교 권력의 횡포라면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나님은 십일조를 하지 않는다고 벌주시는 분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톨릭식 십일조는 교회법이 아닌 세속법에 의해 행해진것입니다.

    한국의 그리스도교에서 십일조는 역사상 언제는 세속법이 아닌 종교적 자발성 영역이기때문에 한국에서는 십일조의 개념이 강합니다.

    가톨릭에는 십일조와 비슷한 것으로 교무금 이란 것이 있는데 이는 교회법상 가톨릭 신자의 6가지 의무 중 하나로 매년 일정 금액을 약속해 납부합니다.

    신자의 재량에 따라 20분의 1, 30분의 1 정도만 내도 문제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신교회 십일조는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즉 하나님의 대한 확실한 믿음이 없다면 할 수 없는 것이 십일조인데, 하나님께서는 구약성서 말라기 3장 10절 말씀에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의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 문을 열고 너에게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고 말씀하십니다 십일조는 우리의 물질의 복과 우리의 건강의 복을 의미합니다.성경은 진리이기 때문에 우리는이 말씀을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이 개신교도들에 대한 의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세상의 물질을 하나님보다 중요하지 않게 여기는 마음을 원하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규정으로 하시기보단 마음으로 하시면 더 기쁘고 감사하지요~~

    "네 보물 있는 그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

    이 성경 구절은 우리의 십일조나 헌금이 우리 마음의 상태를 반영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줍니다. 우리가 즐거운 마음과 기쁜 마음으로 십일조를 드리고 헌금할 때, 우리의 마음이 하나님과 그분의 나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십일조는 예배의 행위이며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우리의 사랑을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그러므로 십일조를 하나님께 드릴 때, 우리의 진실한 마음도 반드시 따라야 함을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는 교회에 다니는 사람 말을 믿을 것이 아니라 성경에 나오는 말씀을 순종 하면 됩니다. 성경에는 분명히 십일조에 관한 내용이 나오는데 신명기 14장 22-29절 말씀에 너는 마땅히 매 년 토지 소산의 십일조를 드릴 것이며 매 년 토지 소산의 십일조를 드리는 것은, 가나안이 하나의 자립적 공동체의 틀을 갖추었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신교 교회에서는 교인들이 십일조를 하도록 권유하고 있지만, 이는 규정이나 의무 사항은 아닙니다. 십일조는 개인의 자발적인 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입니다.

    십일조란 말씀의 십분의 일을 기부하는 것을 뜻하며, 이는 성경에 나오는 십일조의 원칙에서 비롯됩니다. 성경에서는 십일조를 예수님의 가르침 중 하나로 강조하고 있으며, 예수님이 말씀하신 "너희는 모든 십일을 드리되 광주리와 깨끗하지 않은 것으로 채우지 말고 너희 소득의 십일조를 드리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축복이 많을 것이요" (누가복음 11:42) 라는 구절에서 비롯됩니다.

    따라서, 개신교 교회에서는 교인들이 자발적으로 십일조를 하도록 권유하고 있으며, 이는 자신의 신앙실천과 기부에 대한 의지와 의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정의 평화를 위해 십일조를 하고 계시다면, 그것이 신앙생활에 대한 한 부분으로서 의미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입의 10%를 교회나 기타 자선 단체에 기부하는 것을 의미하는 십일조는 일부 개신교 교회에서 권장되거나 기대되는 경우가 많지만 모든 교파에서 엄격한 규칙은 아닙니다. 일부 개신교 교회는 관대하고 희생적으로 주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반면, 다른 교회는 개인의 재량에 맡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십일조를 완전히 금지하거나 경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개신교는 신앙과 실천의 문제에 있어서 개인의 책임과 개인의 자유를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어 십일조를 하느냐 안 하느냐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각 개인의 양심과 성경적 가르침에 대한 이해에 맡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