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내시경 조직검사후 헬리코박터균 양성 질문드려요.
몇일전에 소화가 안되서 동네 내과에 가서 비수면위내시경 받았습니다.
고통을 참고 조직검사 샘플 채취후 헬리코박터균 양성나왔어요.
항생제약을 10일치 해줘서 14일아닌가요? 하니깐 10일이면 된다고하고. 그럼 치료결과는 한달뒤되나요?하니깐
2달뒤에 다시 위내시경으로 조직검사해서 결과 보자고하네요?
위내시경을 2달동안 2번하는게 맞는건가요?
보통 결과는 숨내쉬는거 결과 있던데 그걸로 안되나요? 과잉진료인가 아니면 ,,뭔지 모르겠어요.ㅠㅠ
위내시경으로 특별히 이상은없었어요.
그리고 혈액검사도 해서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158나왔는데 약안먹으면 큰일난다고 해서 그것도 걱정이네요.
의사가 과잉 진료인지 아니면 다른병원으로 가는게 맞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우선 비용 여부를 떠나서 해당병원이 환자분에게 신뢰를 주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병원으로 가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항생제의 경우 10일을 처방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1주일 혹은 2주일 입니다. 병변이 심하다면 내시경으로 "재검을 해야 합니다". 경한 병변이 있는 경우 헬리코박터 검사를 했다면 호기검사로 제균여부를 확인해도 되겠습니다. 환자분의 경우 이부분에서 애매할 수 있겠습니다. 위내시경으로 특별한 이상이 없는데 헬리코박터 검사를 왜 했는지....헬리코박터는 유병률이 50%가 넘습니다. 10명이 있으면 5명 이상이 감염이 되어 있지요. 특별한 이상이 없는데 헬리코박터 검사를 한다? 이 부분은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LDL 콜레스테롤의 경우 위험요인(연령 흡연 고혈압등등)에 따라서 처방 기준이 달라집니다. 병원에서 환자분에서 고지혈증약을 처방한다고 해서 얻을 수익이 얼마되지 않을 것입니다. 몇 천원도 되지 않을 겁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아주 정확하게 질문해주셨습니다.
어떤 약을 주셨는지 모르겠지만 헬리코박터 제균요법의 표준 치료는 14일이며 제균 효과는 요소 호기검사이지 내시경으로 또 생검을 해서 확인하지 않습니다.
그 의사선생님이 어떤 근거를 가지고 이여기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제가 알고있는 표준치료 기준과는 맞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
상기 상황만으로 과잉 진료로 보기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는 몇가지 요법이 있어 치료 기간은 7-14일 정도로 다양하며 동시 요법의 경우 10일 처방을 하게 됩니다. 헬리코박터 제균 여부 확인은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와 말씀하신 것과 같은 요소호기검사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두가지 모두 정확도는 98% 이상으로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내시경 추적검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내시경을 통한 검사를 하게 되고 단순 제균 여부를 확인할 때는 요소 호기 검사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위내시경 추적 검사를 권고 받았다면 담당의에게 검사를 하는 목적에 대하여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LDL 콜레스테롤이 160 가까이 확인되었으므로 약물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약물 치료를 원하지 않는다면 생활 습관 조절 후 재검을 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
메트로나다졸 병합 요법 중에 10일짜리 요법이 있습니다ㅡ 장기간 복용시 환자분들이 많이들 까먹거나 포기해서 10일짜리 요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헬리코박터만 보기 위함이 아닐 수 있습니다. 감염이 좋아졌는지는 요소호기검사로 추적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조직검사 재검을 하는 이유가 꼭 헬리코박터뿐만이 아니라 융기병변이나 미란 병변이 있어서 겸사겸사 하려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부분은 담당 선생님과 상의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