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5

레이더의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레이더는 앉은 자리나 상황실에서 주변 물체들을 찾아서 위치를 보여주잖아요.

군데 어떻게 이런 멀리있는 물체를 찾아서 보여주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아마2718
    호아마271822.11.16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레이더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을 쏩니다.

    그러면 그 빛은 물체에 부딪히면 반사되어서 다시 돌아오게 되어 그 빛을 인식해서 물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레이더는 전파를 쏜 뒤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전파를 다시 감지합니다. 움직이는 물체에대해서 집중적으로 관측하기위해서는 변화가없는 물체의 신호를 제거한 뒤 전파탐지를 지속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선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레이더란, 허공에다 전자파를 쏜 다음, 어떤 물체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파를 측정하여 탐지된 물체의 방향, 거리, 속도 등을 파악하는 시스템입니다.






    레이더 안테나가 작동시 쏜 RF를 해당 물체가 부딪쳐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는 시간차를 계산하여 해당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반사되어 돌아온 RF의 세기와 크기, 모양을 판독하여 고정된 물체인지 움직이는 물체인지, 움직인다면 이동속도는 어떻게 되는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더라고 무조건 멀리 있는 물체에 대해 알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일반적인 레이더라면 지평선 너머에 있는 물체나 중간에 큰 물체가 있어 가려져 있는 대상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주로 지상 레이더 사이트들은 산이나 섬 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출처:

    https://m.blog.naver.com/jihwan_genius/222355661077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허공에 전자파를 쏜 다음 물체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파를 분석하여 물체의 크기, 방향, 거리,속도 등을 파악합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파를 방사하면 전파가 공기를 타고 쭉쭉 전달되면서 장애물을 만나면 반사해서 되돌아 오는 시간이나 전파 방향에 따라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레이더로 물체를 감지하는 원리는 빛의 신호를 보내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물체의 존재를 확인하는 원리입니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지형, 지물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합니다. 지형 지물에 대한 정보를 안다는 것은 모든 좌표상의 거리를 정확히 안다는 것인데, 만약 물체가 지형 지물상에 놓여있으면 지형 지물의 변화로 판단하며 물체라고 식별하는 것입니다.


  • 레이더는 전파의 직진성과 반사성을 이용한 탐지 장비 입니다.

    전파를 발사하여 어떠한 물체에 맞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것을 분석하여 물체의 형상과 크기를 가늠하는 탐지 장비 입니다.

    전파는 수십킬로에서 수백킬로미터를 날아 갑니다. 하여 어떤 전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탐지거리가 결정되게 됩니다.

    반대로 발사한 전파를 되돌아가지 못하게 하거나 , 전파를 산란시키게 되면 레이더는 무용지물이 됩니다. 이것을 이용한 것이 스텔스 기술입니다.


  • 레이더는 전파를 이용합니다.

    그리고 전파는 파장이기 때문에 물체에 부딪히면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

    따라서 레이더는 전파를 내보내고 반사하여 돌아온 전파를 분석하여 목표물을 탐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