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근친혼이 유전적으로 왜 안좋은가요?

근친혼으로 유전자의 문제가 발생하여 근친상간이 쉽게 허용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근친혼이 유전적으로 왜 문제가 되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근친혼을 하지않게되면 열성인자들끼리 만나서 질병을 일으키는 확률이 줄어들기때문입니다. 우성인자가 섞이게되면 보인자로써 질병이 발병하지는 않게됩니다.

    하지만 근친혼을하면 열성인자와 열성인자가 만나 짝을 이루게되면 그 자식은 무조건적으로 열성인자만을 갖고 태어납니다. 즉, 병의 되물림이 진행되고, 더 많은 열성인자들이 점점 짝을 이루면서

    세대를 거듭하면 할수록 점점 신체와 정신의 상태가 안좋아집니다.

    즉, 유전적으로 이득을 볼수가 없는 구조가 바로 근친혼입니다.

    감사합니다.

  • 근친혼이 유전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유는 유전병 발병 위험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몸은 부모로부터 각각 물려받은 유전자 쌍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리고 많은 유전 질환은 '열성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는데, 열성 유전자는 쌍을 이루는 다른 유전자가 정상일 경우에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부모 모두에게 특정 열성 유전자가 있을 경우, 자녀는 그 열성 유전자 쌍을 물려받아 유전 질환이 발병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가까운 친척은 유전적으로 유사한 부분을 많이 공유합니다. 따라서 부모가 모두 특정 유전 질환을 일으키는 열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근친혼을 통해 태어난 자녀는 부모로부터 동일한 열성 유전자를 물려받을 가능성이 커지므로, 유전 질환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 근친혼은 부모 모두가 공통 조상으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로 인해 숨어 있던 열성 유전 질환 인자를 자녀에게 동시에 물려줄 확률이 커집니다. 결과적으로 자녀에게 유전 질환이 발현될 위험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높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근친혼은 같은 유전적 배경을 공유하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같은 열성 유전자들끼리 만나면, 열성 유전자를 두 번 받아서 선천적 장애가 올 확률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