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이 국제 무역에 미친 단기적 및 장기적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COVID-19 팬데믹이 국제 무역에 미친 단기적 영향과 장기적 영향은 무엇인가요? 팬데믹 이후 무역 구조의 변화와 각국의 무역 정책 대응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COVID-19 팬데믹은 국제 무역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단기적으로는 팬데믹 초반에는 공급망 방해, 생산 감소, 소비 위축으로 인해 국제 무역량이 크게 감소했고, 필수품 무역이 급증했으며 비 필수품 무역은 크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국제 여행 제한으로 인해 지역 내 무역이 증가하고 온라인 무역이 확대되었습니다.
장기적으로, 기업들은 공급망 다변화와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를 추구하며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다른 지역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는 추세가 나타났습니다.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은 보호무역주의 심화와 무역 분쟁 증가로 이어졌으며, 환경 문제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속가능한 무역 관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무역 구조 변화로는 서비스 무역과 디지털 서비스 무역의 비중이 증가하고, 데이터 무역의 중요성이 높아졌습니다. 각국은 공급망 강화를 위한 정책, 지속가능한 무역 정책, 디지털 무역 규제 완화 등 다양한 대응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국제 무역의 복잡성과 다양서을 더욱 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관세사입니다.
covid-19 팬데믹이 단기적으로는 셧다운 조치 등을 야기하여 국제 무역을 매우 얼어붙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잠시였고 곧 비대면의 시대가 열리면서 오히려 물동량이 급증했습니다.
이를 통해 플랫폼 사업자들은 더 많은 이득을 취할 수가 있었죠.
그로 인해 각종 sns가 더 발달하게 된 것도 사실입니다.
이러한 무역 구조의 변화로 인해 직구가 더 늘어나게 되고, 무역의 세계화가 더 강화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단기적으로는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방해에 따라 생산이 감소하고 소비 위축으로 2020년에는 세계 무역량 8.5%이 감소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 의류, 관광 산업의 무역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장기적으로는 글로벌가치사슬의 변화로 인해 공급망을 다변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생겼습니다.
또한 디지털무역도 증가하고 경제블록단위의 무역이 증가하거나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됨에 따라 각 국가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한 소재,부품,장비를 국산화하는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코로나는 단기적으로는 기업들의 공급을 막으면서 공급망 이슈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기업들이 이러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하여 리쇼어링 그리고 니어쇼어링을 추진하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