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어디고
어디고

사케를 구매할 때 정미율이라고 있던데 이게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사케를 구입할 때 레이블에 39, 45라고 적혀있어서 직원분에게 여쭤봤더니 정미율이라고 하더라고요 정미율의 뜻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 건가요? 낮을수록 좋은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렁찬아나콘다276
    우렁찬아나콘다276

    정미율은 쌀은 얼마나 깎아냈는지를 표기한 수치입니다

    정미율이 70%라고 하면 30%를 깎고 남은 70%로 담은 술이라는 거죠.

    정미율이 낮을수록 그만큼 정미 기술이 필요하고 쌀이 더 많이 필요하고 공도 많이 들기 때문에 비싸집니다.

    정미율이 낮을수록 맛은 깔끔해지고, 잡냄새 없이 술의 향기가 화려해지고 향의 세기가 강합니다.

    정미율이 높을수록 쌀 본래의 맛과 향을 맛보고 맡을 수 있으며, 정미율이 70% 이상으로 높아질경우에는 술 본연의 향 세기는 약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사케의 등급을 나눌때 쓰는 표시입니다.

    정미율이 낮을수고 고급사케입니다.

    정미율이 50% 이학고급 70%이하일땐 일반주라고 합니다.

  • 정미율은 말 그대로 쌀을 깎아낸 정도라고 합니다. 쌀의 전분 중심부는 좋은 사케를 만드는 핵심이기 때문에 모든 양조용 쌀은 어느 정도 정미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정미율 70%라는 것은 쌀의 겉 부분을 적어도 30% 깎아내고 나머지 70%만을 이용해 술을 빚었다는 뜻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