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잘웃는두견이121
잘웃는두견이12123.09.19

당뇨진단시 당화혈색소만 보는게 맞는건가요?

나이
4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당뇨약
기저질환
당뇨

당화혈색소 6.5 넘으면 당뇨로 진단하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식후 혈당 공복 혈당을 측정해서 진단하게 되는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당화혈색소만으로 진단하지는 않고, 공복혈당, 식후혈당등을 측정하여 진단하긴 하는데,, 당화혈색소가 높으면 심정적으로 거의 당뇨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 당뇨를 진단하는 기준은 다음의 네 가지 중 하나의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입니다:

    1. 당화혈색소가 6.5% 이상

    2. 공복 혈당이 126 mg/dL 이상

    3. 식후 2시간 혈당(OGTT 검사)이 200mg/dL 이상

    4. 고혈당 증상과 함께 어느 때든 혈당 수치가 200mg/dL 이상

    실제 임상 상황에서 보통 가장 확실하게 사용하는 진단 기준은 1번인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인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당뇨병의 진단기준은 다음중 한개를 만족하면 됩니다

    • 8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측정한 혈당(공복혈당)이 126 mg/dL 이상인 경우

    • 2. 포도당 75g을 물 300cc에 녹여 5분에 걸쳐 마신 후(경구당부하검사) 2시간 째 측정한 혈당이 200 mg/dL 이상인 경우

    • 3. 당화혈색소 검사결과가 6.5% 이상인 경우

    다만 한번 이상으로 진단하지 않고 다른날 반복검사를 해서 재현이 된경우 진단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