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빨간후투티350
빨간후투티350

앵커링 효과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경제용어 중 앵커링 효과라는 것이 있던데 이는 정확히 어떤 용어이며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전문가님들의 설명 기다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앵커링 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앵커링 효과란 밷가 닻을 내리면 닻과 배를 연결한 밪줄의 범위에서만

    움직일 수 있듯이 처음에 인상적인 숫자나

    사물이 바운더리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앵커링 효과는 배가 닻(anchor)을 내리면 닻과 배를 연결한 밧줄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듯이 처음에 인상적이었던 숫자나 사물이 기준점이 되어 그 후의 판단에 왜곡 혹은 편파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고 하네요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앵커링이란

    행동경제학 용어로 협상테이블에서 처음에

    함께 논의했던 조건이나 생각들 때문에 벗어나지

    못하여 판단이 왜곡되거나 편향적인 사고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닻(anchor)을 내리면 닻과 배를 연결한 밧줄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듯이 처음에 인상적이었던 숫자나 사물이 기준점이 되어 그 후의 판단에 왜곡 혹은 편파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입니다.

  • 사람들이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하거나 결정을 내릴 때, 그 앵커가 그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초기 정보나 기준점이 이후의 판단에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앵커링 효과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케팅 전략에서도 이 원리를 활용하여 소비자가 특정 가격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를 고려합니다.

    정책 결정이나 투자 판단 등에서도 초기 정보가 이후의 판단에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전문가들은 이러한 효과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하죠 앵커링 효과는 초기 정보가 우리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중요한 심리적 현상으로, 소비자 행동, 가격 결정, 협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는 사람들이 특정 숫자나 정보에 첫 인상을 강하게 받고 이후 판단이나 결정을 할 때 그 정보를 기준(앵커)으로 삼는 심리적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처음 제시된 가격이 매우 높으면 실제 가격이 낮더라도 그 높았던 가격이 기준이 되어 더 높게 느껴지는 것이 앵커링 효과입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합리적인 결정보다는 처음 받은 정보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경제나 마케팅에서 자주 활용되며 소비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는 사람들이 첫 번째로 접한 정보나 숫자에 고정되어 이후의 판단이나 결정에 큰 영향을 받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심리학과 행동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경제적 의사결정이나 가격 협상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처음 제시된 가격이 높다면 소비자는 이후의 할인된 가격을 더 저렴하게 느끼게 됩니다.

    앵커링 효과는 마케팅, 가격 전략, 협상 등에서 활용되며 초기 정보가 사람들의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심리학 및 행동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사람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처음 제시된 정보(앵커)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즉, 초기 정보가 이후의 판단이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의 가격이 처음에 100달러로 제시되었다가 70달러로 할인되면, 소비자는 70달러가 매우 저렴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100달러가 앵커 역할을 하여 소비자의 판단에 영향을 미친 것입니다.

    앵커링 효과는 가격 결정, 협상, 소비자 행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사람들의 판단이 비합리적으로 왜곡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닻내림 효과(앵커링 효과)는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처음 입력된 정보가 이후의 의사결정과 판단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효과를 뜻해요.

    닻(Anchor)이란 배가 항구 또는 항해 중 일정한 위치에 정박하고자 할 때 바닥에 박힐 수 있도록 고안된 갈고리 모양의 기구로, 처음 입력된 정보가 이후의 행동에 닻처럼 작용한다 하여 닻내림효과라는 이름이 붙었죠.

    소비자 입장에서 가격에 대해 형성된 고정관념이 소비습관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예를 들 수 있어요.

    대표적인 예로써 뉴욕시 택시 승차비에는 팁(tip)이 따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과거에는 승차비의 8-10%에 해당하는 비용을 승객들이 평균 팁으로 지불하곤 했죠. 그런데 신용카드를 사용해서 승차비를 지불하는 화면에 팁 금액으로써 20%/25%/30% 중 하나를 선택하는 옵션이 생기자 승객들은 20%의 팁을 낮은 액수로 생각하기 시작했고, 이 옵션이 추가된 이후 뉴욕시 승객들에게는 택시 승차비의 2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팁으로 내는 소비습관이 생기게 되었어요. 옵션이 생긴 이후 평균 택시 팁은 2009년 기준 택시비의 평균 22% 정도로 상승해버렸죠!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란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처음 입력된 정보가 이후의 의사결정과 판단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변칙세일을 생각하시면 되고, 쇼핑을 하실 때에 원가격 적혀있고 세일을 하는 식으로 해서 무의식으로 저렴하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머리 속에서 맴돌게 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라는 것은

    특정한 숫자나 기준점으로 작용하여 이후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심리학자이자 행동경제학의 창시자인 다니엘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에 의해 제시된 개념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란 의사결정 과정에서 처음 접한 정보나 수치가 기준점(앵커)이 되어 이후의 판단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래서 처음 제시된 숫자나 정보가 이후 판단의 기준점 역할을 합니다. 이 기준점으로 인해 객관적 판단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쇼핑, 비즈니스 협상, 주식 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납니다.

    마치 쇼핑 가게에서 상품에 대한 높은 가격을 먼저 제시하여 실제 판매가를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느끼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A상품의 가격을 100만원으로 판매 가격을 제시하고 유사한 품질의 제품 B를 80만원으로 판매 가격을 제시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느끼는 B의 제품을 사게 하는 가격 책정 전략을 말합니다.

    할인 전략에서 사용합니다. 할인하기 전에 원래 가격을 높게 설정하고 할인할 때에서 원래 가격으로 할인을 해도 소비자들은 앵커를 기준으로 상품의 가격을 평가함으로 상대적으로 할인된 가격에서 구매 욕구를 자극합니다

    마지막으로 협상 전략에도 첫 제안이 이후 협상의 기준점이 됩니다. 첫 협상에서 높게 가격을 책정하면 그 가격이 앵커가 되어 이후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 보이게 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주의할 경은 주식 투자에서 투자자들은 과거의 주가나 처음 접한 정보에 영향을 받아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앵커링 효과는 우리의 일상적인 판단과 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현상으로, 특히 경제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인식하고 객관적인 판단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는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편향을 설명하는 행동경제학 용어입니다. 이는 사람들이 판단을 내릴 때 처음 접한 정보나 수치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마치 배가 닻을 내리면 그 주변에서 맴도는 것처럼, 사람의 사고도 초기에 제시된 정보에 고정되어 이후의 판단에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앵커링 효과는 다양한 상황에서 관찰됩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들이 상품의 가치를 판단할 때 처음 본 가격에 영향을 받아 실제 가치와 무관하게 구매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케팅 전략에서도 이를 활용하여 높은 가격을 먼저 제시한 후 할인된 가격을 보여줌으로써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기도 합니다.

    이 효과는 1974년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의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그들은 피실험자들에게 무작위 숫자를 보여준 후 특정 질문에 대한 답을 추측하게 했는데, 피실험자들의 답변이 처음 본 무작위 숫자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우리의 판단이 객관적 사실보다는 초기에 접한 정보에 더 많이 좌우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중요한 의사결정을 할 때는 이러한 편향을 인식하고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앵커링 효과는 특정한 지표에 기준점을 세우는 것을 말합니다.

    • 닻내림 효과로 직역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현재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 이상에서 오래 있는데

      이 1300원이라는 기준점에서 1200원대로 진입하면 환율이 싸졌다는 생각에 달러 매수가

      크게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이 때 기준점을 1300원으로 잡았기 때문에 이러한 생각이 드는 것이고

      실제로는 1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지만 싸다는 인식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는 심리학과 행동경제학에서 자주 언급되는 개념으로, 사람들이 처음 접한 정보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이후의 판단이나 결정을 내리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때 처음 제시된 정보가 앵커(anchor) 역할을 하며, 그 앵커가 이후의 판단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물건의 가격을 결정할 때, 처음 본 가격이 매우 높다면 그 이후에 본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느껴지게 됩니다.

    반대로 처음 본 가격이 매우 낮다면, 나중에 본 가격은 비싸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