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Fravend
Fravend

회사에서는 보통 실업급여 안받는 쪽으로 하려고 하잖아요?

그래서 해고가 아닌 자진퇴사로 유도하는걸 많이 봤는데

직접 겪기도 했었고요 이러는 이유가 있을까요?

실업급여를 회사에서 어느정도 부담을 하는건가요?

정부에서 주는걸로 아는데 왜 해고가 아닌

자진퇴사로 유도하는게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감원방지의무를 전제로 한 정부지원금 사업에 참여하고 있을 경우 해고 또는 권고사직으로 인위적으로 인원 감축 시 사업이 중단되는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발적 이직으로 유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회사가 고용지원금을 받는 경우 해고나 권고사직이 있으면 지원금이 중단됩니다.

    이런 사유가 아닌 경우에도 그냥 뭘 모르고 막연히 불이익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실업급여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사전에 납부한 고용보험료를 재원으로 하여 고용센터에서 지급하기 때문에 회사에서 추가로 부담하는 금액은 없습니다.

    다만, 근로자가 해고나 권고사직 등 인위적인 고용조정으로 인하여 퇴사하는 경우, 고용장려금 지급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일정 기간 외국인 근로자 고용 제한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해고를 하는 경우에는 회사가 정당한 사유를 입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직원을 내보내야 하는 경우 자발적 퇴사로 처리하기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이때, 권고사직 처리를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는, 권고사직 등에 따라 정부지원금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