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성숙한꿩234
성숙한꿩23424.04.26

여성들의 갱년기 증상이 궁금합니다.

나이
45
성별
여성

요즘 와이프가 갱년기 인거 같다고 자주 말하는데 증상이 어떤지 궁금합니다. 최근에 와이프가 아이들에게 갑자기 욱하고 화를 많이 내는데 이것도 갱년기 증상인지 궁금하네요.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면 개선되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얼굴 화끈거림, 우울, 짜증, 더위를 쉽게 타는 증상, 두근거림, 불면 등의 다양한 증상들이 폐경으로 이행되는 과정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약물치료를 고려할 수 있으니 가까운 산부인과를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갱년기에는 여러가지 신체적 정신적 변화가 생길수 있습니다. 정신적 변화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갱년기 동안 여성은 작은 일에도 쉽게 화를 내거나 짜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몸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자주 아픔을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신체적 변화는 심리적으로 우울하거나 수면 패턴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신경질적인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갱년기 중에 나타나는 우울증은 이 시기에 처음으로 경험하는 우울감을 의미하며, 이는 인생에 대한 슬픔이나 낙담, 절망감을 포함하며 때로는 초조함과 분노가 혼합된 상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폐경 자체가 우울증을 증가시킨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갱년기 동안 에스트로겐 수치가 떨어지면서 기분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로토닌이나 노르에피네프린의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갱년기 우울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폐경 후에는 감정의 불안정성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피로와 짜증, 의욕 상실과 같은 감정은 종종 우울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적인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조깅, 에어로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산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같은 활동들은 우울증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갱년기는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인해 나타나는 일련의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말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안면 홍조, 식은땀, 불면증, 질 건조증, 요실금, 우울감, 불안감, 기억력 감퇴, 성욕 저하 등이 있습니다.

    와이프분이 경험하는 감정 기복이나 예민함, 짜증 등의 증상도 갱년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호르몬 변화로 인해 감정 조절이 어려워지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갱년기 증상은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르몬 대체 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심리 상담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배우자의 이해와 지지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와이프분과 함께 산부인과나 내분비내과 전문의를 찾아 갱년기 증상에 대해 상담받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모색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짜증을 많이내고 잠을 잘 못자고 더워하고 등등

    호르몬 치료를 받으면 많이 호전됩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감정의 변화가 갱년기 증상 중 하나가 맞습니다만 그 증상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갱년기 때문이라고는 볼수없습니다.

    기침이 감기의 증상 중 하나는 맞지만 기침 한다고 무조건 감기는 아닌것처럼요. 다른 원인이 있을수 있습니다.

    갱년기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갱년기의 주요 원인은 여성의 난소기능 저하, 여성호르몬 감소가 주된 원인입니다. 폐경 즈음 갱년기에 이르면 난소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되는데 이게 다양한 장기에 영향을 주어 갱년기 증상이 유발됩니다.

    대표적 증상으론 안면홍조, 발한, 수면장애, 두통, 심계항진, 피부변화, 건망증, 질건조/분비물 감소, 빈뇨, 요실금, 신경질, 우울감 등이 있고 치료는 보통 약물이나 호르몬 치료가 있지만 식단과 운동 관리 역시 큰 역할을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