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곰돌이푸와친구들
곰돌이푸와친구들

이런 거 배우려면 어느 학과로 가야 하나요?

80살의 몸을 20대로 되돌리거나

시력을 잃은 쥐의 시신경을 회복시켜서 볼 수 있게 한다거나

특정 질환에 취약한 사람의 유전자를 꺼내서 인위적으로 재조합한 뒤

튼튼하고 면역력이 강한 유전자로 만든다거나..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것처럼, 노화 역전, 신경 재생, 유전자 편집 같은 분야는 현재 생명과학과 의학, 공학이 가장 집중하고 있는 첨단 융합 과학 분야인데요, 생명과학과와 관련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전자, 세포, 단백질, 신경계, 생리 등 생물의 기본 원리를 배우는 학문을 공부하며, 노화, 줄기세포, 유전자 조작, 신경재생 같은 연구를 가장 기초부터 깊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과는 이후 의생명과학, 신경과학, 노화생물학, 재생의학 등으로 진학하거나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기초 중의 기초 학문입니다. 이외에도 유전공학과에 진학하셔도 괜찮은데요, CRISPR 같은 유전자 편집 기술, 유전자 치료제, 유전자 기반 약물 설계를 연구하며 특히 “유전자를 조작해 튼튼한 면역력을 가진 인간을 만든다”는 꿈은 유전공학과의 핵심 주제입니다. 이 학과에서는 생명윤리, 질병 치료, 맞춤형 의학 등의 미래 기술도 함께 배우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

    생물학과 혹은 생명공학 진학을 통해 노화, 회복, 재생 등의 메커니즘에 대해 공부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생명과학과, 생명공학과, 유전공학과, 분자생물학과, 의생명공학과와 같은 학과에 진학하여 관련 기술의 기초를 배울 수 있습니다. 해당 기술들은 공통적으로 생명체의 유전 정보와 세포 단위의 현상을 다루는 분야로, 학부 과정에서 기본적인 원리를 학습한 뒤 대학원에서 세부 전공을 통해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명 평가
  • 말씀하신 것을 배우시려면 생명공학이나 의료과학 관련 과로 진학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생명공학과는 유전공학, 세포공학, 단백질공학 등 생명 현상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응용하여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거나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을 연구하는데,80세의 몸을 20대로 되돌리거나 유전자를 재조합하는 기술 등은 생명공학의 핵심 분야입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의생명공학과가 가장 가까운 학과라 할 수 있는데, 의학 분야에 생명공학 기술을 접목하여 질병 진단, 치료, 예방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학과입니다. 시신경 회복, 특정 질환 치료 등 의학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학과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글쎄요.. 말씀하신 것은 생명 분야이긴 하나,

    사실 의대로 가도, 약대로 가도 관련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어요. 답변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생명공학과 유전공학과로 가야합니다.

    주로 생물학과 관련된 과를 진학하는 것이 좋으며 향후, 대학원을 통해 박사까지 취득해야 조금 더 자유로움 속에서 자신이 관심있는 주제를 갖고 연구를 추진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