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육할 때 칭찬과 혼내는 균형잡는법.
아이를 훈육할 때 칭찬과 처벌을 어떻게 균형 있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지나치게 긍정적인 피드백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 칭찬과 처벌의 균형을 잘 맞추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나치게 긍정적인 피드백만 주거나, 처벌을 과하게 사용하면 각각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긍정적인 칭찬을 통해 아이의 내적 동기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는 친구에게 친절한 사람이구나"와 같은 칭찬은 아이가 행동을 하게 된 내적인 이유나 가치를 강조하는 칭찬입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칭찬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고, 외적 보상 없이도 좋은 행동을 지속할 수 있게 됩니다.아이의 감정과 행동을 모두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너는 화가 났을 때 잘 참았구나"라고 감정을 인정해주고, "책을 다 읽고 나서 엄마에게 말해줘서 고마워"처럼 행동을 칭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자기 감정을 잘 다루는 법을 배우고, 긍정적인 행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아이를 훈육할 때 칭찬과 처벌의 균형은 행동 강화와 교정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칭찬은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반복하도록 돕고, 처벌은 부적절한 행동을 교정하는 데 필요합니다. 중요한 점은 칭찬을 통해 내적 동기를 키우고, 처벌을 긍정적인 행동을 위한 교훈으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아이를 훈육하고 칭찬할 때에는 바로 이렇게 일관성이 있는 훈육을 하여주시면은 좋다는 사실을 인지하시면 좋아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훈육은 처벌과칭찬이아닙니다
말그대로 잘못된걸바르게잡아주는거지
칭찬처벌과별개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훈육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단호해야 합니다.
훈육의 정의는 아이의 잘못된 행동과 언어에 있어서 그 잘못된 부분을 그 즉시 짚어주고, 왜 그것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알려준 후, 그 잘못된 행동과 언어를 바로 잡아주는 것입니다.
훈육을 하면서 칭찬을 하는 것은 옳지 않아요.
칭찬은 아이가 정말 잘했을 때 그 즉시 리액션을 크게 해주면서 "우리 00 잘했어" 라고 언어로 전달을 해주면서 아이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거나, 아이를 안아주면 좋을 것 같구요.
긍정적인 피드백은 평상시 밥상머리교육 시간을 통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서 전달을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긍정적 피드백과 적절한 처벌을 균형있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나치게 칭찬하면 자신감 과잉이나 과시적 행동이 되니 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