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9월 금리인상 울트라스텝이 되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시장예상을 웃돌면서 자이언트 스텁을 넘어 울트라스텝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렇게되면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만약 미국이 이번 9월 20~21일 FOMC에서 울트라스텝을 밟게 된다면
1.환율의 1,420원 돌파
- 현재 미국과의 기준금리는 동일하나, 현재의 환율은 미국이 0.75%의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는 예측치에 의거하여서 환율이 상승하고 있는데, 만약 미국의 기준금리가 1%가 상승하게 되버리면 현재 구두로 환율방어를 하고 있는 한국은행의 행동은 무용지물이 되버릴 가능성이 높으며 환율은 1,420원을 바로 돌파해버리고 수입업체들의 자금 압박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수입업체의 경우는 신용장거래방식 + TT송금 으로 수입을 하게 되는데, TT송금의 경우는 당장 자금이 묶이게 되며 신용장은 향후 결재를 해야하는데 환율이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판매단가와 수입단가의 괴리가 심해져 판매할 수록 손해를 보게 되는 가능성도 생기게 됩니다.
2.한국 기준금리 인상 압박의 심화
- 위의 상황처럼 환율이 심각하게 상승하는 경우 우리나라 수입업체들의 부담이 심각해지며, 이에 따라서 이들은 판매가격을 크게 상승시킬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오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국내에 유통되는 수입 자재 및 물건의 가격상승으로 인해서 제조업체의 생산원가 증가와 물건의 가격상승은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현재도 금리가 높아서 가계가 지출을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가격이 더 높아지게 되면 경기침체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부채 폭탄을 터트리고서라도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야 하는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될 것 같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한은은 기준금리를 0.25% 올리려는 기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울트라스텝을 밟는다면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기준금리차이가 더 심해져
현재보다 환율이 더 높아지고 외인의 자본이 이탈할 가능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울트라스텝에 따라 9월 기준금리를 100bp 인상하게 되면 한국은행도 따라서 올릴 수밖에 없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데요. 연말까지 3% 정도까지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만약에 미국이 울트라스텝을 감행한다면 미국은 물론이고 국내 주식시장에도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금도 미국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우리나라 한국은행도 이에 자유로울수 없는 구조로 금리인상으로 대응을하고 있는데 현재 기준금리가 동일하지만 이번 미국연준의 자이언트급이상의 금리가 인상되며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해보이며 그에따른 대출금리등 부담감은 더중 가중될것으로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