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무역적자를 면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올려야한다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경제공부를 하고 있는데, 유투브를 보다가 미국의 무역적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하거든요
금리인상과 무역적자는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게 되면 달러가치가 상승해 이에 따라 무역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보입니다. 다만, 무조건 환율이 금리의 방향대로 흘러가는 것은 아니고 미국은 현재 금리를 낮추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어 당분간 금리가 오를 상황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무역적자랑 금리 얘기가 같이 나오는 건 사실 간단한 구조에서 출발합니다. 금리를 올리면 달러 자산에 투자하려는 해외 자금이 더 몰리게 되고 그 결과 달러 가치가 강해집니다. 달러가 강해지면 수입품은 싸게 들여올 수 있지만 미국 기업이 수출하는 제품은 해외에서 비싸 보이니까 오히려 무역적자가 줄어들기는 어렵다는 모순도 생깁니다. 그래서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말은 무역적자 그 자체보다는 외국 자금 유입을 늘려 경상수지 적자를 방어한다는 맥락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리와 무역수지가 맞물려서 돌아가는데 단순히 금리 하나로 적자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식의 설명은 좀 과장된 해석에 가깝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어떠한 논리구조로 이뤄지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미국은 기축통화국이기에 무역 적자를 통하여 패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전체적으로 긴축 재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타국가들이 파산을 하고 달러의 강세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선호되지 않는 정책이며 미국이 원하는 정책도 아닐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