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축의금 액수는 얼마가 적당한가요?
최근 결혼식 축의금 액수는 얼마가 적당한가요? 들어보면 식대가 5만원 이상이라는 말도 많고 제가 결혼할때 받았던 금액보다 더 해야하는지 항상 고민입니다
요즘 식대가 많이 비싸져서 5만원은 적은 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축의금에 대해 정 고민이 되신다면, 청첩장을 직접 받았는지, 청첩장 받을 때 식사를 했는지, 결혼식에 참석하는지, 그 상대와 어느정도의 사이인지, 내 결혼식 때 얼마를 받았는지, 식비가 대략 얼마정도 하는 식장인지... 등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일단 기준을 딱 정해 놨습니다 요즘 결혼식장 뷔페 값도 장난 아니잖아요 그래서 제가 결혼식에 참석을 하게 되면 최소 10만 원으로 정해 놨습니다 그리고 참석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5만 원만 하는 걸로 정해 놨습니다
일단 가지 않는다면 5만원이 적당하고 결혼식에 간다면 그래도 10만원은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친하다면 20만원 이상도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산에서 내려온 딱따구리입니다.해당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요즘에 결혼식 축의금 같은 경우에는 보통 100,000원 정도를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오만 원 더 하였으나 요즘에는 식대가 많이 올랐다고 하여 5만원은 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10만원을 하고 있죠. 가장 적당한 것 같습니다.
결혼식 식대가 많이 올라 5~10만원 선으로 냅니다.
서울권은 보통 식대가 7~10만원 선이라서요.
식대가 비싼건 결혼 당사자의 선택이나 초대받고 간 입장에서 식대보다 축의금을 적게 내면 마음이 좋지 않아 최소 식대값은 내려고 합니다.
식장에 가지 않고 돈만 보내는 경우는 더 적게 내기도 합니다.
비오는 날에서 얼큰한 수제비7입니다.최근 축의금 액수는 5만원에서10만원이 일반적인것같습니다.경기도 권이면 5만원 서울이면 10만원생각하시면 될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코모도왕도마뱀233입니다 질문에답변드리겠습니다 결혼식 축의금은 최소 10만 원부터 시작해서 15만 원 20만 원이 정도가 가장 많은 거 같습니다 일단은 사이가 엄청 좋고 친한 사람이라면 보통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이런 단위도 많이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축의금을 얼마를 내는게 적정한지 항상 고민이 되죠.
최근 결혼식 식대가 보통 인당 7만원 내외정도 됩니다.
이에 10만원 이하로 내는 경우 차라리 안가고 축의금만 주는게
신랑/신부한테는 유리하지만 단순히 금액을 보고하는건 아니기에
방문해서 축하를 해주는게 맞다고 보여집니다.
이에 친한 정도에 따라 정해서 주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많이 친하시면 10만원드리고 조금은 어색한 정도면 5만원을 내는게 적정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방문을 하던 안하던 그 범위는 질문자님이 판단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진기한딱따구리139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요즘은 뷔페 가격이 보통 6만 원 8만 원 정도 하기 때문에 5만 원은 아예 말도 안 되고요 보통 요즘 10만 원 해도 욕먹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참석하게 되면 최소 15만 원 20만 원입니다 거의 그렇다고 보시면 돼요
결혼식 축의금은 결혼당사자와의 관계가 어떠냐가 가장 중요 할 것 같습니다.
결혼식을 화려하게 호텔 같은곳에서 한다고 하여 하객이 축의금을 더 많이 낼 필요는 없는것 같습니다.
그들의 선택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식대 때문에 다들 축의금 액수를 고민을 많이 합니다.
제 의견으로는 식장에 가지않고 축의금만 전달시 오만원, 식장에 가서 식사를 할 경우에는 십만원이 적당한듯 합니다.
참고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