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고대생물 두반충은 어떻게 생존하는 생물인가요?

최근 TV예능을 보니 중국에서 돌에서 자라는 흰머리처럼 두반충이 발견되었다는 정보를 얻었네요. 돌에서 흰머리처럼 계속 자란다고 하는데 그럼 두반충은 돌에서 어떻게 양분을 섭취해서 계속 생존하고 또 더 자랄 수 있는 것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두반충은 주로 미세한 유기물이나 미생물을 섭취하여 양분을 얻습니다.

    돌의 표면에서 자생하는 미세한 생물이나 유기물 덩어리를 통해 필요한 영양성분을 흡수하며 생존하고 성장할수 있어요

  • 두반충이 돌에서 양분을 섭취하는 방식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가설은 있죠.

    두반충이 기생하는 돌 표면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을 수 있고 두반충은 이러한 미생물이나 미생물이 분해한 유기물을 섭취하며 생존한다는 것입니다.

    또는 두반충이 서식하는 환경이 바닷가 근처라면, 파도나 조류에 의해 운반되는 미세 유기물을 흡수하여 영양분을 얻는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미생물은 암석의 미네랄 성분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두반충이 이러한 미생물과 공생 관계를 맺거나, 스스로 미네랄을 흡수하여 생존하는 방식을 진화시켰을 가능성을 주장하는 가설도 있습니다.

    또 두반충이 다른 작은 생물체에 기생하여 영양분을 얻거나 다른 미생물과 공생 관계를 맺어 서로에게 필요한 물질을 교환하며 생존하는 방식을 취한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두반충이 끊임없이 자랄 수 있는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 영양공급과 더불어 특수한 생리 구조, 환경 적응 등이 언급됩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두반충에 관해 알려진 것이 그다지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 두반충은 고대생물로 주로 습기 있는 암석이나 석회질 환경에서 발견됩니다. 두반충은 돌 속에 있는 미세한 유기물과 미생물을 섭취하거나 주변 환경에서 스며드는 양분을 흡수하며 생존합니다. 이 생물은 몸 전체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양분을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뿌리가 없는 대신 몸 전체가 양분 흡수와 성장을 돕습니다. 성장 속도는 매우 느리며, 이처럼 적은 자원으로도 생존할 수 있는 것은 두반충의 대사 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