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노출 etf 가 달러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궁금해요
저는 달러를보유해야겟다는 생각에 직투를 하고있는데요 연금저축계좌는 s&p 500 같은 etf 환노출종목 모으는데 이것도 달러보유한것과 같은 개념이될까요? 맞다면 직투는 이제안하려고 하는데 저는원화로 사는거니 달러보유개념은 약한거같아서.. 이런 종목들도 어느정도 달러를 보유햇다고 볼수잇나여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환노출 ETF는 달러 자산을 원화로 환산할 때 환율 변동 영향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즉, 달러 강세 시 수익이 커지고 약세시 손실이 발생합니다.
결과적으로 달러 보유 효과는 있지만 완전한 달러 대체는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환노출 ETF는 미국 달러 자산을 그대로 보유해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는 구조로, 달러 가치가 강세일 때 환차익을 통해 수익이 날 수 있습니다. 환노출 ETF에 투자하는 것은 원화로 투자하더라도 달러 자산을 어느 정도 보유하는 효과가 있으나, 실제 달러 현금을 직접 보유하는 것과는 달리 환율 변동 리스크도 함께 감수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환노출 ETF가 달러와 어떻게 연관이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환노출 ETF는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구조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환노출 ETF는 기초자산인 미국 S&P 500의 가격 변동뿐만 아니라 원/달러 환율 변동의 영향도 그대로 받도록 설계된 상품입니다. 이 ETF를 원화로 매수하더라도, 그 원화는 달러로 환전되어 해외 자산에 투자된 후 원화로 다시 환전되어 되돌아오는 구조이므로, 달러를 직접 보유한 것과 동일한 환 위험에 노출됩니다. 즉,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ETF의 자산 가치 외에 환차익까지 더해져 총 수익이 늘어나므로 달러를 보유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습니다. 따라서 환노출 ETF를 매수하는 것은 달러 자산에 대한 투자를 의미하며, 이는 일정 부분 달러를 봉유하는 것과 개념적으로 같습니다. 환노출 ETF를 통해 환율 상승에 대비할 수 있어, 환차익을 목적으로 한 달러 직접 투자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환노출 ETF는 투자하는 해외 자산의 가격 변동외 원달러 환율 변동도 수익률에 그대로 반영되도록 설계된 상품입니다. 따라서 해당 ETF를 매수하는 것은 기초 자산을 보유함과 동시에 달러화에 대한 간접적인 투자 효과를 얻는 것과 같습니다. 즉, 달러 가치 상승하면 환차익이 발생하여 ETF 수익률이 더 높아지며,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환차손이 발생하여 수익률이 낮아지는 방식으로 달러를 보유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져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계좌에서 환노출 S&P 500 ETF를 모으는 것은 달러를 보유하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는데, 달러 보유가 목표라면 직접 달러를 사는 대신 환노출형 해외 ETF에 투자하는 것만으로도 달러 자산에 대한 노출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다만 어느 정도 달러를 보유 했다고 평가 하기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계좌에서 모으는 S&P 500 같은 환노출 ETF는 원화로 투자하지만, 그 자산이 달러로 표시되기에 원/달러 환율 변동이 수익률에 직접 반영되요.
환율이 오르면 투자 가치도 함께 증가하는 달러 강세에 베팅한 것과 같은 개념이 됩니다.
따라서 직접 달러를 보유한 것과 유사한 환 노출 효과를 얻고 있는 것입니다.
직투는 유동성 확보의 장점이 있지만, ETF는 달러 노출과 함께 미국 증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어요.
이미 환노출 ETF를 통해 달러 보유 개념을 상당 부분 가져가고 있으니, 직투 비중 조정은 개인의 목표에 따라 결정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