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피임약을 어떤 원리로 임신이 안되는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0대

성관계를 함에 있어 피임방법도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여성이 먹는 피임약은 어떤 원리로 임신을 억제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피임약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을 일정하게 공급해서 난포가 자라서 배란이 되는 것을 아예 막아버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상우 약사입니다.

    경구피임약은 여성 호르몬 성분(에스트로겐, 프로게스틴 등)을

    인위적으로 일정하게 공급해 배란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임신을 막습니다.

    원래 몸은 배란 후 황체호르몬이 높아지면 임신을 대비해 자궁 내막을 유지하는데,

    피임약은 이 호르몬 수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몸이 이미 배란이 된 상태라고 착각하게 만들어

    실제 배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배란 억제 외에도 정자가 통과하기 어렵게 자궁경부 점액을 끈적하게 만들고,

    수정란이 착상되지 않도록 자궁내막을 얇게 유지하는 작용도 함께 일어나므로

    단순히 피임약 복용만으로 높은 피임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자궁 벽에 일정 호르몬 농도로 착상이 됩니다. 피임약은 이 호르몬을 조절하여 착상이 되는걸 억제하여 임신이 안되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길병철 약사입니다.

    가장 먼저 호르몬 분비를 억제하여, 난자가 배출되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추가적으로, 자궁내에 점액을 끈끈하게 하여 정자의 진입을 어렵게 하며,

    자궁 내막을 얇게하여 착상을 어렵게 합니다.

    위 3가지 기전이 있으며, 배란을 억제하는 것이 가장 주요한 기전입니다.

    *의사의 진단, 처방을 대신할 수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질문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피임약은 여포의 성숙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배란이 억제되도록 해서 수정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그 외에 자궁내벽을 위축시켜서 착상이 어려운 환경으로 만들고, 정자의 이동을 어렵게 만드는 등 여러가지 작용으로 피임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처음 복용을 시작하는 경우 생리가 시작하는 첫 날짜에 맞춰서 복용을 시작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학 약사입니다.

    피임약의 주된 원리는 배란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배란을 억제하면 난자가 배출되지 못하므로 임신 자체가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런 기전을 가졌기 때문에 생리 첫날부터 복용을 시작해야 약효를 볼 수 있습니다.

    약물이 효과를 내는데 일주일 정도 걸리고, 배란기는 생리 첫날부터 2주뒤이므로 복용 후 약효가 돌아 배란을 억제하려면 최소 생리 시작 후 5일 이내에는 복용을 시작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환영 약사입니다.

    경구피임약은 여성호르몬을 통해서 생리주기와 배란 등을 조절하며 피임효과가 생깁니다.

    가장 큰 역할은 FSH난포자극호르몬, LH황체형성호르몬 억제를 통해서 난자가 나오는 것을 막고 (배란억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없게 하는 작용입니다.

    또한 자궁내막을 얇아지게 하는 역할을 통해서 임신 확률을 낮춥니다.

    일정한 시간, 꾸준한 복용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