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Youangel
Youangel

아이들의 주도학습 방법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정겨운고릴라200입니다 아이가 예를 들어 끝말잇기를 할때 모르는 단어가나오면 물어보지도 않고 그냥 지나갑니다 아이가 주도적으로 모르는거있으면 찾아보고 물어보고 할수 있게 지도를 잘할수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보호자와 함께 책을 읽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책을 같이 읽다보면 아이가 궁금한 것이 많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그때마다 보호자에게 질문하고, 보호자는 그에 대한 답을 해 주시구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창의력과 생각하는 방법을 기르게 하고 싶다고 하신다면

    아이가 그렇게 모르는 단어가 나왔을때

    그냥넘어가려할때

    궁금하지 않냐고 질문을 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그냥 지나갈때에는

    아이에게 그 단어에 대하여 함께 이야기 해보고

    고민해볼수 있는 시간을 가지셨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자신 스스로 모르고 있다 라는 사실을 누가 아는 게 싫어서 그럴 수 있습니다.

    아마도 우리 아이는 실패를 너무 두려워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실수, 실패, 이런 것들을 힘들어하고 두려워 하는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인 경우가 많아요

    주변에 있는 모든 사람들, 부모님, 조부모님, 선생님 등이 결과에만 칭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하지만 아이들의 욕구충족, 즉 자존감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려면 항상 과정에 아낌 없는 칭찬을 하셔야 합니다.

    결과가 아닌 과정을 칭찬해야 한다는 걸 알고는 있지만 쉽게 잊어 버립니다.

    그리고 아이가 실수했을 때 기 죽이지 말고 그럴 수 있다 라고 쿨 하게 넘기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이 먼저 궁금한 것이 있으면 찾아보는 습관을

    보여주시길 바랍니다.

    그리하여 아이도 자연스럽게 이를 배우도록 하는 것이

    자기주도학습 습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 상황에서 아이에게 물어봐 주세요.. 왜 그냥 넘어갔는지 물어보고 그 해당 단어에 대한 아이의 사고력을 확장할 수 있도록 옆에서 조금씩만 도와주시면 됩니다. 자기주도학습은 어려운게 아닙니다. 하나하나의 습관이 모여 자기주도학습을 이루기에 아이가 그런 행동을 하는 경우 바로바로 물어보고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