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 경제학과 거시경제학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경제학을 보면 크게 미시 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나뉘어 지게 됩니다 가현 미시경제학은 무엇이고 거시경제학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울러 미시경제학의 대가는 누구인지도 궁금하고요 거시경제학의 대가는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학은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나누어 진다. 미시경제학은 경제적 의사결정의 주체인 개별단위, 예컨대 가계, 기업, 생산요소의 공급자(노동자, 자본가, 지주 등)와 이들 상호간의 관계, 나아가서 개별시장의 행위를 대상으로 삼는 반면, 거시경제학은 경제전체에 걸쳐 또는 경제전체를 주요부분(총소비, 총투자, 총저축, 정부지출 등)으로 나누어, 모든 개별적인 재화와 용역을 집계하고 그 총계를 대상으로 삼는다. 즉 미시경제학은 개별단위를 강조함으로써 상대가격, 교환관계, 주어진 자원의 배분 및 일정수준의 소득의 분배 등을 대상으로 한다.
반면에 거시경제학은 경제의 총체적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상대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소득, 고용 및 가격의 총체적인 수준, 인플레이션 및 경기후퇴, 실업 및 완전고용, 경제성장률 등을 다룬다.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에 대한 상대적인 관심은 경제학의 발전과정을 통하여 볼 때 여러 차례 바뀌어 왔다. 1776년의 아담 · 스미스(Smith, A.)에서부터 19세기 중엽의 마르크스(Marx, K. H.)에 이르기까지 경제학은 미시적인 측면과 거시적인 측면에 다 같이 관심을 두었고 구태여 양자의 명백한 구별을 시도하지 않았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오스트리아학파, 한계효용학파, 신고전학파로 불리는 경제학자(예컨대 제본스, 마샬, 멩거, 왈라스 등)들은 경제학의 관심을 상대가격이나 특정한 재화와 용역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의 미시경제적 측면에 돌렸다. 그러나 1930년대의 침체기에 이르러 케인즈(Keynes, J. M.)를 비롯한 여러 경제학자들이 경제분석의 역점을 다시 국민소득, 실업, 공황 등과 같은 거시적 문제에 두게 되었다. 그러나 근년에는 양자의 상호의존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이는 미시경제학에서 가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해서 소득개념을 무시할 수 없으며, 거시경제학에서 가격을 무시할 수 없음을 뜻한다. 요컨대 경제분석의 각 분야는 당면한 문제의 해결에 공헌하여야 할 과제를 갖고 있다. 거시적 분석은 경제체제 전체의 파악을 강조하는 데 비하여 미시적 분석은 경제체제의 각기 다른 단위들의 상호의존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초점을 둔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분석방법의 장점은 동시에 약점이 되기도 한다. 거시경제적 변수들과 그 관계식에 집착한 나머지 개인의 선호 및 행위에 관한 미시경제적 측면이 무시되고 각각의 경제단위 사이의 미시경제적 상호관계만을 강조하게 되면 구성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 즉 경제체제의 한 부분에서 보아 진리인 것은 체제 전체로 보아도 진리라고 생각하는 잘못을 저지르기 쉽게 된다.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들, 즉 소비자, 기업, 노동자 등 각 경제 단위의 행동과
그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거시경제학은 전체 경제를 분석하는 분야로, 경제 전체의 동향과 거시적인 경제 문제를 다룹니다.
미시경제학의 대가 중 한 명으로는 앨프리드 마셜이 있습니다. 그는 미시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미시경제학의 기본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현대 미시경제학의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 학자입니다.
거시경제학의 대가 중 한 명으로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있습니다.
케인스는 정부의 경제 개입을 통해 경제를 안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그의 이론은 현대 거시경제학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은 개별 소비자와 기업의 의사결정과 시장 구조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가격 결정, 시장 균형, 자원 배분, 생산자와 소비자의 행동 등을 다룹니다.
미시경제학의 주요 주제로는 수요와 공급, 소비자 이론, 생산자 이론, 시장 구조 등이 있습니다.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은 국가 경제 전체를 다루며,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실업, 환율, 국제수지 등을 분석합니다.
이는 경제 전체의 성과를 측정하고 경제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거시경제학의 주요 주제로는 국민소득계정, 소비자물가지수, 실업률, 국내총생산(GDP) 등이 있습니다.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은 서로 다른 관점에서 경제를 바라보지만, 상호 보완적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거시경제학은 이러한 행동이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미시경제학의 대표적인 학자는 아담 스미스(Adam Smith),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데이비드 리카도(David Ricardo), 알프레드 마셜(Alfred Marshall) 등이 있습니다.
거시경제학의 대표적인 학자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John Maynard Keynes),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 로버트 루카스(Robert Lucas)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개별 소비자나 기업의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가격 결정과 수요, 공급, 그리고 시장 균형 등 개별적인 경제 활동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어떻게 개별 주체들이 결정을 내리고 그 결정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폴 밀그롬, 로버트 윌슨이 대표적인 인물들입니다.
반면,
거시경제학은 전체적인 경제를 다루는 학문 분야로 국가나 지역의 전체적인 경제 활동과 관련된 요인들을 연구합니다.
GDP, 실업률, 인플레이션 등 넓은 범위의 지표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죠. 블랑샤르가 대표 거시경제학 대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시경제학은 작은 단위의 경제이므로, 가계나 기업같은 경제 주체 위주의 경제를 말합니다. 기업 이익률 성장률 등의 지표가 있습니다.
거시경제는 큰 틀에서의 경제인데, 쉽게 말하면 국가입니다. 환율, 국제수지, GDP 등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대 미시경제학 방법론을 잘 정립한 앨 프레드 마셜이 미시경제학에서 가장 유명하고 존 메이너드 케인즈가 거시경제학의 아버지라 불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개인이나 기업이 어떤 선택을 하는지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등 작은 경제 단위를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반면 거시경제학은 전체 경제, 예를 들어 나라의 경제 성장, 실업률, 물가 상승 같은 큰 경제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미시경제학의 대가로 수요와 공급 이론을 발전시킨 알프레드 마셜이 유명하고 거시경제학은 대공황 이후 현대 경제학을 만든 존 메이너드 케인즈가 대표적인 인물이에요. 두 경제학은 서로 다른 규모의 경제 현상을 다루지만 경제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분야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시경제학이란 경제현상을 연구할 때에 개별적 혹은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서 거기경제학이란 경제현상을 분석할 때에 전체적 혹은 종합적인 분석을 하게 됩니다.
즉, 미시경제학은 나무를 거시경제학은 숲을 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주체들의 경제행위와 그 상호작용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다시 말해 가계와 기업의 경제행위와 그 상호작용을 지배하는 원리를 분석하는 학문이며
거시경제학은 개별 경제주체들로 구성된 국민경제의 전체적인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하
국민소득, 물가, 고용, 통화량, 국제수지, 경제성장 등 국민경제 전체의 총량개념들이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종 경제 정책이 이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루는 학문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은 경제학의 두 가지 주요 분야로, 각각 다른 시각에서 경제를 분석합니다.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의 의사 결정과 시장의 작동 방식을 연구하며, 소비자의 선택, 기업의 생산, 시장 형성과 가격 결정 등을 분석합니다. 이 분야의 주요 학자로는 앨프레드 마셜과 폴 새뮤얼슨이 있습니다.
거시경제학은 전체 경제 시스템의 작동 방식과 경제 성장, 실업, 인플레이션 등 거시경제 변수의 상호 관계를 연구합니다. 이 분야에서는 국민소득, 고용, 물가, 경제 성장 등을 분석하며, 존 메이너드 케인스와 밀턴 프리드먼이 중요한 학자로 꼽힙니다.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개별 경제 주체의 행동이 전체 경제에 영향을 미칩니다. 두 가지 관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면 경제 현상을 보다 깊이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가계, 기업 등)의 행동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가격 결정, 수요와 공급, 소비자 선택, 생산 및 비용 분석 등을 다룹니다.
거시경제학은 경제 전체의 동향과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로, 국가의 총생산, 실업률, 인플레이션, 경제 성장 등을 분석합니다.
미시경제학의 대가는 알프레드 마샬이 유명하고 거시경제학의 대가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유명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소비자, 기업 등)의 의사결정과 시장에서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즉, 개별 상품의 가격 결정, 소비자의 선택, 기업의 생산 등을 다루죠. 대표적인 학자로는 아담 스미스 (자유 시장 경제의 아버지)와 앨프레드 마샬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정립)이 있습니다.
거시경제학은 국가 전체 경제의 총체적인 흐름을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국민소득, 고용, 물가, 경제성장 등 거시적인 경제 현상을 다루죠. 대표적인 학자로는 존 메이너드 케인즈 (거시경제학의 창시자)와 밀턴 프리드먼 (화폐주의 경제학의 대표)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