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신통한바다매262
신통한바다매262

하루 적정 수면시간은 어떻게 될까요??

하루에 가장 이상적인 수면시간은 어떻게되나요?...

가장 좋은 취침 시간대도 알려주세요?...

잠이 잘안오고 중간에 자주 깨는데 수면장애가 있을까요?.... 답변미리감사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늘땅울영성계발원
      하늘땅울영성계발원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하늘땅울림불교심리상담소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적정시간은 기본 7~8시간입니다

      자는 시간 10시에 취침 기상시간 6~7시 기상이 가장 사람 몸 균형에 맞습니다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분비되며 숙면을 취합니다

      잠을 자다 자꾸 깬다는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노화, 근육, 수면무호흡증, 피로, 카페인,알콜 그리고 스트레스입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체크 해 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류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적정 수면시간이라는 것은 대부분 7~8시간 이라고 말하지만,

      전 전혀 다르게 봅니다 :)

      먼저 본인만의 수면'양'을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다 다릅니다.

      모두가 다른데 잠을 자는 양도 다 다르지 않을까요?

      최소한 7시간을 자야 집중력과 기억력이 유지되는 아이가 매일 5시간만 잔다면,

      낮 동안에는 전날 밤에 자지 못한 2시간을 더 자려고 상당히 발버둥 칠 겁니다.

      일주일 후 일요일에는 분명히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늦잠을 잘 것이구요.

      이처럼 본인의 수면 양을 측정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나는 하루 4시간만 자도 집중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나의 적정 수면은 4시간인 것입니다.

      적정 수면 시간 찾는 법

      1. 가장 쉽게 잠들 수 있는 시간을 취침 시간으로 정한다.

      가능하면 일어나야 하는 시간 8시간 전이 좋다.(성인 평균 필요 수면 시간 : 7시간 30분)

      2. 처음 정한 취침 시간을 일주일 동안 지키면서 일어난 시간을 기록한다.

      만약 지금까지 수면이 부족했다면 하루 이틀 정도 빨리 깨거나 오래 잘 수 있으므로 이는 무시한다.

      3. 알람시계 없이 일어날 수 없거나 하루 종일 피곤하다면 현재의 수면 시간이 부족하다는 증거다.

      일주일 후까지 증상이 계속된다면 다음 일주일은 15~30분 정도 일찍 잠자리에 들어본다.

      반대로 일주일 내내 일찍 깬다면 수면 시간이 길다는 증거다. 그렇다면 15-30분 정도 늦게 잠들어 본다.

      4. 같은 방법으로 알람시계 없이 일어날 수 있으며 하루 종일 건강하게 보낼 수 있는 시간을 찾는다.

      이렇게 찾는 시간이 자신에게 알맞은 수면 시간이다.

      다음으로 수면의 양과 시간대를 조절해도 피곤해서 아침에 기상이 어렵다면 수면의 질이 문제가 있는 것이다.

      10시간 이상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을 시는 수면의 질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런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는 우울증, 불안증, 주기적 사지 운동증(다리가 수면도중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것), 과도한 카페인, 약물, 통증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가장 흔한 것이 수면 무호흡증(일명 코골이)이다.

      이때는 전문의의 상담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