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ilililililil
ilililililil23.10.21

한 건물에 아파트와 오피스텔로 나뉘어진 건 무슨 기준인가요?

오늘 집을 보고 왔는데 한 건물에 1~10층 오피스텔

11~15층 아파트로 나뉘어져 있더라구요.

집을 둘러봤더니 아파트가 더 넓다는 것 외에는 차이를 못 느꼈는데 이렇게 용도?가 나뉜 이유가 뭔가요?

단순히 평이 좁으면 오피스텔, 넓으면 아파트인 건지.. 아니면 같은 건물의 비슷한 구조의 집인데도 대출 받을 때나 매매할 때 등이나 세금 등의 차이가 생기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의 주상복합의 경우는 같은 건물에 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이 함께 있는 경우이고 위 두가지 구분은 단순히 면적이나 구조상 차이로 나누는것이 아닌, 건축물 대장상 용도를 기준으로 오피스텔과 아파트를 나누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주거와 상가(오피스텔)를 혼합해서 짓는 경우는 그렇게 해야 최대한 높게 더 많은 세대를 지을 수 있는 건축법 때문에 그렇습니다.

    같은 건물에 구조가 같아도 오피스텔과 아파트는 세금이나 대출등에서 완전히 다른 적용을 받습니다.

    아파트는 주택, 오피스텔은 오피스텔로 적용을 받아서 취득세부터 재산세 양도세, 주택수 포함여부까지 차이가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하실 때 아파트와 오피스텔은 대출이나 세금에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아파트가 오피스텔보다 비교적 세율이 낮고 대출금리도 좀 더 저렴합니다.

    한 건물에 용도가 다른 이유는 건축주가 건축허가를 낼 때 주차대수 등의 여러사항을 고려하여 관련법령을 검토하고 유리한 쪽으로 용도를 설계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순수 주거용인 아파트만 시공하는 거 보단 주거용+상업용이 혼합 된 주상복합을 시공하는게

    용적률이 유리하여 더 높게 시공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사업지역 내 주상복합 건설에 대한 규제가 강해서 과거보다 인기가 떨어지긴 했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