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님은 한글을 만드는데 얼마나 걸렸나요?
제가 요즘 역사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그 중에서 세종대왕님이 항상 궁금한데 세종대왕님은 한글을 만드는데 기간이 얼마나 걸린 건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얼마나 걸린 것인지 아직 관련 자료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삼강행실도 1431년(세종 13)이고 훈민정음 창제는 1443년 이므로 이를 추산하여 한 일이년 고심하다가 훈민정음을 창제할 생각을 하게 되었다면 대략 십여년 정도는 걸리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 대체적으로 추측하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 대왕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만들기 위해 10년 이상 남몰래 고민하며 공부하고 연구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드디어 자음 17자, 모음 11자로 이루어진 한글을 만들어 1443년 12월에 공표했지만 이런 한글 창제 사실을 바로 백성들에게 알리진 않았습니다. 새로 만들어진 문자, 한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해설서인 훈민 정음 혜례본이 필요 했고 그래서 1446년 혜례본과 함꼐 한글을 반포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님은 한글을 만드는 작업을 은밀하게 추진했기 때문에, 실록에도 한글 창제와 관련된 기록이 분명히 나오지 않습니다. 왕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건은 날짜를 정확히 명시해서 기록을 하는 게 일반적인데, 한글 창제와 관련된 기록은 실록에 전혀 보이지 않다가 1443년(세종 25) 12월 조의 맨 끝에 날짜를 명시하지 않고서 그냥 ‘이번 달에 왕이 언문 28자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나옵니다. 그리고 3년 뒤인 1446년(세종 28) 9월 조의 맨 끝에 역시 날짜를 명시하지 않고서 ‘이번 달에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是月訓民正音成)’는 기록이 나옵니다.
이 두 기록을 놓고서 현대의 학자들은 약간의 혼란에 빠졌습니다. 그래서, 1443년 12월에 한글이 일단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거기에 문제점이 많아서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3년 동안 해서 1446년 9월에 한글을 제대로 완성했다는 식으로 해석을 내리게 되었고, 그렇다면 1443년 12월보다는 1446년 9월을, 한글이 만들어진 시기로 보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실록에 9월 며칠인지 날짜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니 그냥 9월 그믐날로 가정하고 양력으로 환산하여 10월 29일을 한글날로 정하게 되었습니다.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는 데에는 약 3년이 걸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종대왕은 1443년(세종 25년) 12월에 한글을 창제하여, 1446년(세종 28년) 9월에 반포하였습니다. 따라서, 세종대왕은 1443년부터 1446년까지 약 3년 동안 한글을 연구하고 창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는 중국의 한자와 일본의 가나를 연구하였으며, 우리말의 소리와 글자의 관계를 연구하였습니다. 또한, 그는 신하들과 학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한글의 편찬에 참여시켰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43년 12월에 한글이 일단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거기에 문제점이 많아서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3년 동안 해서 1446년 9월에 한글을 제대로 완성했습니다. 그래서 1443년
12월보다는 1446년 9월을, 한글이 만들어진 시기로 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