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라는 단어를 지은 인물이 누구인가요
운전을 하다가 문득 든 생각인데요 아스팔트 의. 역사에 대해 궁금합니다 특히 아스팔트라는 단어를 지은 인물이 누구인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어 입니다 누가 만든것이 아닌 자연스럽게 생겨난 말이 아닐까 합니다.
석유를 정재하고 남은 잔류물 고체나 반고체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원유를 정제하고 남은 점성을
가진 액체인 역청(아스팔트)은
유전에서 석유가 오랜 시간동안
휘발하면서 자연적으로 생겨나기도
하는데, 유전이 있는 지대에는
석기 시대부터 역청을 사용한 유물이
발굴도기도 한답니다.
창세기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의
방수 도료와 바벨탑의 벽돌 사이에
바르는 자재로 역청이 쓰였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스팔트는 진리라는 뜻을 지닌 헬라어의 아스팔레이아 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단어는 굳건함, 확실함, 안전을 의미합니다.
아스팔트 포장은 락 아스팔트의 발견과 그의 의용으로 시작되었으며, 1712년 스위스 의사인 다이리니스 박사에의해 발견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스팔트의 이름을 지은사람은 알수는 없지만
원유에서 기름들을 추출하고 난후 찌꺼기를
아스팔트로 불리우면서 점차 사용하는곳을 늘려 갔습니다.
도로나 지붕재 같은것으로 사용 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스팔트는 헬라어의 '아스팔레이아'( asphaleia )라는 단어가 있는데 그 의미는 "굳건함," "확실함," 또는 "안전"입니다. 오늘날의 '아스팔트'라는 말은 이 단어의 어근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스팔트 시멘트는 중세 시대부터 쓰였으며, 19세기 중후반부터는 도로 포장에 쓰였고, 20세기 초에는 중유를 증류하여 인공 아스팔트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아스팔트(asphalt)도로로 대한민국 최초의 아스팔트 도로는 전주와 군산을 잇는 26번 국도, '번영로'입니다. 벚꽃길 로도 유명한 이곳은 1908년 10월에 완공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