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
우리나라 대표 음식인 김치는 발효음식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음식인 김치에 발효음식으로 알려져있는데 그렇다면 김치에 얼마나 많은 유산균이 있는지 궁금해지는데. 어느정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류호연 영양사입니다.
김치는 발효 과정에서 유산균을 생성한다. 유산균은 김치의 맛을 좋게 하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발효가 계속 진행되면서 김치가 점점 시어지면, 유산균이 생성하는 산도가 높아져 결국 유산균이 스스로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이 된다. 이로 인해 신김치가 될수록 유산균 수는 급격히 감소한다. 그러다 시큼할 정도로 시어진 김치엔 유산균이 거의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영양전문가입니다.
김치는 사실상 유산균이 죽고 죽이고 하는 과정이 반복이 되요
이 양은 수천억 마리가 넘는데요
김치안에서 많은 유산균이 싸우고 하면서 신맛으로 변경이 된느거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