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사회적 갈등이나 정책 변화가 수출입 기업의 경영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최저임금 인상, 파업 등 사회적 이슈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 정책 변화가 제조업 수출입 기업의 원가와 납기 대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최저임금 오르면 인건비가 확 뛰니까 제조단가도 바로 올라가고, 그게 수출가격 경쟁력까지 영향을 미치는 구조입니다. 파업이라도 터지면 생산 지연되거나 물류까지 꼬여서 납기 못 맞추는 일도 흔하고요. 요즘은 해외 바이어들이 이런 리스크까지 민감하게 보는 편이라서, 국내 여건 불안정하면 주문 자체가 줄어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선 유연근무 도입하거나 생산 일부 외주로 돌리는 식으로 대응하는 경우도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최저임금 인상이나 파업이 발생하면 생산현장의 인건비와 운영비가 전반적으로 오르게 됩니다. 그만큼 제조원가가 높아져 수출 경쟁력이 낮아질 수 있고, 파업이나 근로시간 단축 이슈가 겹치면 납기 대응에도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류 일정까지 지연되면 거래처 신뢰도에 영향이 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최저임금에 대한 인상은 지속적으로 필요한 부분이 있지만 일단 제조업 수출입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높여 원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파업이나 노사갈등은 생산차질이나 납기지연 등을 유발해 부정적 영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노사간의 원활한 협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최저시급인상의 경우에는 한국의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따라, 두사람이 할일을 한사람에게 몰아서 하는 경우가 많고 노동자의 권익보호로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수출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수출가격이 상승하게되면 그만큼 경쟁력을 잃게 되기에 수출시장에서는 기술력으로 무엇인가를 할 수 없다면 세계화 시장에서는 도태되게 됩니다. 이러한 결과로 과거와 달리 치킨게임을 성공할 수 있는 부분은 첨단부분이나 고도의 제조업들 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이는 개인의 의견이기에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