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대만의 2분기 GDP 성장률이 7.96%라 하던데 20% 관세부과 이후에도 비슷한 수준의 성장이 가능한가요?

대만의 2분기 GDP성장률이 7.96%로

급속한 성장을 했더군요

그런데 최근 미국과의 관세협정에서

20%라는 고관세로 결론이 났는데

반도체 산업의 독점구조로 20% 관세에도

다음분기 성장률이 현재 수준과 비슷하게

나올 가능성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관세보다 미국의 AI데이터센터의 투자가 ai에이전트로 서비그 경쟁격화로 관련된 HBM이나 관련된 반도체칩주문이 폭발되면서 발생된 결과입니다

    문제는 하반기에도 이런기조가 이어진다면 대만은 이미 가격을 고객사에게 이전하고 있기 때문에 관세로 인한 충격을 어느정도 솽쇄할수있다고 보입니다 즉 관세보다 고객사 즉 미국의 주요 빅테크사들의 데이터센터 투자가 지속적으로 천문학적으로 이어지느냐가 관건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만의 2분기 7.96% 성장률은 AI산업 관련I반도체 수출 호조와 미국 관세 시행 전 선주문 효과 덕분입니다. 그러나 20% 관세가 본격 적용되면 수출 경쟁력이 약화돼 이 같은 고정상 유지가 어렵고, 하반부터 성장률 둔화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히 수치만 보면 대만 경제가 엄청 가파르게 튄 것처럼 보이는데 사실은 작년 기저효과도 좀 작용한 측면이 있습니다. 7.96%라는 숫자 자체가 구조적인 장기성장이 아니라 일시적인 반등에 가까운 면도 있는 거죠. 이제 문제는 그 뒤에 붙은 20% 관세인데 이게 만만한 수치는 아닙니다. 특히 미국 시장 비중이 큰 산업이라면 타격이 즉각적으로 올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대만 반도체는 아직까지는 글로벌 필수 공급처로 여겨지기 때문에 단기 충격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무에서 보면 이런 고관세가 적용되기 시작하면 결국 고객사들은 중장기적으로 생산처를 다변화하게 됩니다. 그래서 다음 분기에도 지금 수준 성장을 기대하는 건 솔직히 어렵다고 봅니다. 고관세 영향을 본격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하면 수출 모멘텀이 꺾일 수밖에 없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 그 이유는 관세를 부과 하면서 상승한 가격은 TSMC의 수익이 아닌 미국의

      세금으로 들어가고 가격 경쟁력은 지금보다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 결과적으로 상승 보다는 유지 혹은 매출이 하락할 가능성이 더 큰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대만의 2분기 GDP 성장률이 7.96퍼센트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수치는 아직 미국의 관세가 실효되기 전이기에 가능한 경제 성장률로 보이고

    본격적으로 8월 이후부터 20퍼센트 관세가 되기에

    대만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불가능합니다. 대만은 관세율을 20%로 협상했기 때문에 무역수지도 안좋아지고, 기업들의 실적도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서 경제성장률이 더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만의 올해 1분기 GDP 성장률은 약5.5%였고 2분기는 말씀 하신 대로 거의 8% 성장을 시현했습니다.

    올해 전체는 기존 3.1% 성장률 보다는 높은 약5.8%가 예상됩니다.

    다만, 대만에 부과된 20%의 관세가 영향을 끼치겠으나 파운드리 최강국으로 기존 거래처가 관세가 낮은 국가 거래처에서 생산을 이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서 올해 성장율은 약6% 내외로 기존 예상 보다 높은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만의 높은 성장률은 반도체 수출 호황과 기술 산업 주도 때문입니다.

    하지만 미국과의 관세 협정에서 20% 고관세가 부과되면 수출 감소 우려가 생깁니다. 단기적으로는 기존 수주와 글로벌 공급망 덕분에 유지 가능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성장 둔화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