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v바이러스 아기에게 전염되는지 궁금해요
제왕절개로 출산한지 4개월되었습니다. 출산 백일 검사중 자궁검부암 검사에서 비정형세포가 나와 조직검사 및 바이러스 검사를 하였습니다.
조검 결과 만성염증 및 원반세포증?으로 나왔고, 바이러스는 미검출 되어 고주파 치료를 받았습니다.
바이러스가 소멸되었거나 비활동같은데.. 맞나요?
1. 현재 4개월 아기가 있는데 전염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수건이나, 뽀뽀, 화장실 다녀온뒤 손을 안씻을 경우 아기에게도 전염될 수 있나요? 이게 제일 걱정됩니다.ㅜㅜ
2. 원반세포증은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커진거라고 하는데, 앞으로 더 안좋게 진행되거나 악화 되는건가요? 아니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건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먼저 HPV 바이러스 전염에 대해 알아볼게요. 일반적으로 HPV 바이러스는 성 접촉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아기에게 수건이나 뽀뽀, 손을 씻지 않은 채로 접촉하는 것만으로는 전염되지 않아요. 아기의 건강을 위해 평소처럼 위생에 신경 쓰시는 것이 좋겠지만, 현재 상황에서 전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어요. 이제 원반세포증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원반세포증은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커지거나 변형된 상태를 말하며, HPV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바이러스가 미검출되었다면 현재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여요. 고주파 치료를 받으셨으니 이번 기회에 상태가 잘 관리되고 있는 것 같네요. 하지만 꾸준한 추적 관찰과 검사를 통해 변화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해요. 때때로 이런 상태는 스스로 정상화되기도 하니,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시면 되겠어요. 앞으로도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병원을 찾아주셔서 전문적인 상담을 받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을 잘 읽어보았습니다.
Hpv 바이러스는 주로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잘 전염되지 않습니다. 제왕절개로 출산하셨기 때문에 출산 시 아기가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은 거의 없습니다. 바이러스가 일상적인 접촉, 수건 공유, 가벼운 신체 접촉, 일상적인 생활 환경에서 아기에게 전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특히 바이러스가 활동하지 않아 검사에서 미검출된 상황이라면 전염 가능성은 더 줄어듭니다.
원반세포증은 일반적으로 세포의 비정상적인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으로,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서 비대해진 경우를 의미합니다. 만성염증이 동반될 수 있지만, 이는 항상 악화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고주파 치료를 받으셨고, 현재 바이러스가 미검출된 상태라면, 꾸준한 관리를 통해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으시고, 전문의의 조언에 따라 건강을 관리한다면 상태가 호전되거나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현재 바이러스가 미검출 상태라면, 아기에게 전염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일상적인 접촉(수건, 뽀뽀 등)에서는 전염 위험이 거의 없지만, 손 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좋아요
원반세포증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고주파 치료로 염증이 완화되었으므로 악화될 가능성은 적습니다. 치료 후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