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고립된 섬에서 섬 거대화가 일어나는 현상이 우리나라에도 발생했나요?

생물이 섬에 고립되게 되면 천적이 없는 경우 해당 생물의 몸집이 커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섬 거대화 현상이 우리나라에서도 발생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섬 거대화 현상은 유전적, 생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거대화 현상을 말합니다.

      원래 작았던 동물들이 상위 포식자가 없거나 혹은 상위 포식자를 이겨내기 위해 더 크게 진화하는 것이 특징이죠.

      그러나 이러한 섬 거대화 현상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섬 거대화 현상이 발생한 사례가 있습니다.

      제주도의 쇠머리오리는 본토의 쇠머리오리보다

      몸집이 1.5배 이상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주도가 천적이 없는 섬이기 때문에

      쇠머리오리가 몸집을 키워 먹이를 더 많이 먹고

      포식자의 공격을 피하기 위한

      진화적 적응으로 추측됩니다.

      울릉도의 울릉큰이끼도는 본토의 이끼도보다

      몸집이 2배 이상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울릉도가 천적이 없는 섬이기 때문에 울릉큰이끼도가 몸집을 키워

      먹이를 더 많이 먹고 포식자의 공격을 피하기 위한

      진화적 적응으로 추측됩니다.

      독도 너구리는 본토의 너구리보다 몸집이 10% 정도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독도가 천적이 없는 섬이기 때문에 독도 너구리가 몸집을 키워

      먹이를 더 많이 먹고 포식자의 공격을 피하기 위한

      진화적 적응으로 추측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섬처럼 유전적, 생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거대화 현상. 수많은 진화론의 실증적 증거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섬 왜소화와는 반대현상으로, 원래 작았던 동물들이 상위 포식자가 없거나 혹은 상위 포식자를 이겨내기 위해 더 크게 진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몸집이 커진 생물은 여러 가지 이점이 생긴다. 몸이 커지면 그만큼 많은 양의 먹이가 섭취 가능하고, 일정하게 체온 유지가 가능해[1] 생존율이 올라간다. 일정 수준 이상 덩치를 불리면 포식자들의 위협을 덜 받을 수 있다는 부수적인 이점도 존재한다. 본래 크기가 작은 생물들인 조류, 파충류, 곤충 및 절지류, 갑각류에게서 많이 나타나나, 포유류 중에서도 섬 거대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진화한 실례를 찾을 수 있다.


      섬 왜소화와 마찬가지로 섬이라는 지형 특성상 이 형질을 보이는 동물들은 대체로 멸종한 종들이 많다. 여기에는 거대화해 인간이 잡기 쉽다는 특징 때문에 인간의 손에 멸종한 것이 크게 한몫한다. 물론 갈라파고스땅거북이나 스리랑카표범, 카카포같이 아직 살아있는 종들도 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물이 섬에 고립되면 천적이 없어서 생물의 몸집이 커질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섬 거대화 현상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일부 섬에서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섬처럼 유전적, 생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거대화 현상. 수많은 진화론의 실증적 증거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섬 왜소화와는 반대현상으로, 원래 작았던 동물들이 상위 포식자가 없거나 혹은 상위 포식자를 이겨내기 위해 더 크게 진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몸집이 커진 생물은 여러 가지 이점이 생긴다. 몸이 커지면 그만큼 많은 양의 먹이가 섭취 가능하고, 일정하게 체온 유지가 가능해 생존율이 올라간다. 일정 수준 이상 덩치를 불리면 포식자들의 위협을 덜 받을 수 있다는 부수적인 이점도 존재한다. 본래 크기가 작은 생물들인 조류, 파충류, 곤충 및 절지류, 갑각류에게서 많이 나타나나, 포유류 중에서도 섬 거대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진화한 실례를 찾을 수 있다. 섬 왜소화와 마찬가지로 섬이라는 지형 특성상 이 형질을 보이는 동물들은 대체로 멸종한 종들이 많다. 여기에는 거대화해 인간이 잡기 쉽다는 특징 때문에 인간의 손에 멸종한 것이 크게 한몫한다. 물론 갈라파고스땅거북이나 스리랑카표범, 카카포같이 아직 살아있는 종들도 있다. (출처 : 나무위키 - 섬거대화)

      다른 나라에는 몇몇가지 동물의 예시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땅이 적고 대부분 사람들이 살고 있어서 이런 섬거대화의 예가 없는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