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1,000건의 질문
- 임금·급여고용·노동Q. 편의점 알바 계약관련 질문드립니다!편의점 알바에 뽑혀서 계약을 하려는데 점주님께서 최저시급에서 10퍼센트를 까고 또 뭐 편의점 알바는 프리랜서 어쩌고 하시면서 8.8퍼센트를 또 까신다고 하셨는데 10퍼센트 빠진 것과 8.8 퍼센트 빠진 것이 각각 무엇에 해당해서 빠지는 건지 알 수 있울까요?그래서 실질적 8950원밖에 안됩니더
- 생물·생명학문Q. 이 블라인드 글 신뢰성 있는 글인가요?https://www.teamblind.com/kr/post/%ED%95%9C%EA%B5%AD%EC%97%AC%EC%9E%90%EB%93%A4%EC%9D%B4-%EA%B7%B8%EB%8F%99%EC%95%88-%EB%82%A8%EC%9E%90%EB%93%A4%EC%97%90%EA%B2%8C-%EB%A7%90%ED%95%98%EC%A7%80%EC%95%8A%EB%8D%98-%EC%B9%9C%EC%9E%90%ED%99%95%EC%9D%B8-%EC%86%8D%EC%9D%B4%EB%8A%94-%EC%88%98%EB%B2%95%EC%9E%A5%EB%AC%B8-K37qknwu블라인드에서 딸인 경우 친자확인검사를 할시 친자가 아닌데 친자로 맞춰낼 수 있다고 주장하는 글이 있는데 신뢰성 있는 글인가요?
- 치과의료상담Q. 사랑니 발치 후 골이식 질문을 드립니다..8만원대에 autobt를 하는 것도 보이더라고요.(https://kddental.co.kr/product/autobt%ED%99%98%EC%9E%90%EB%8F%99%EC%9D%98%EB%A5%A0-%EB%86%92%EC%9D%B4%EB%8A%94-%EB%BC%88%EC%9D%B4%EC%8B%9D/4867) 그정도면 어느정도는 예방적인 의미로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병원마다 인건비 명목으로 빠지는 비용이 다르고 보험이 적용되지 않으니 autobt를 쓰는 경우는 어느 정도인지 물어보지 못한게 후회가 남긴 합니다. 지금이라도 다시 병원 예약 잡아서 혹시 얼만지 물어보거나 하고 싶다고 말하는게 뭐하는 짓인가 싶기도 하고...마치 어디서 주워 들은 걸로 전혀 맞지도 않는 말인데 제가 치료를 요구하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러다 보니 이것 저것 물어보고 싶어도 이상하게 보실까봐 물어보는 게 겁이 나기도 해서 물어보지 못했고... 교수님이 아니라 다른 의사분이 와서 제게 설명해주셨는데 뒤에서 치위생사분들나 학생분들이 구경하듯 모여서 보는 것도 신경 쓰여 여쭤보지 못한것도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 비용이 걱정 되셔서 그렇게 말씀 하신 것도 있긴 하고 열정적으로 친절하게 말씀해주셔서 믿고 발치만 하기로 했습니다만, 사실은 빌치 후가 겁이 많이 납니다. 상태를 잘 관리하고 싶어 이것 저것 찾아보다 보니 사랑니 부위에 이식하는 경우가 보이기도 해서 조금씩 마음이 흔들리는게 사실입니다. 그분도 효과는 있곘지만 크진 않다고 말을 하셨던게 있었지만 그 조금이라도 좋았기 때문입니다...계속 스트레스가 쌓이네요.. 어디는 또 괜찮다곤 하고...치과 의사분들 정말 존경하고 전부 똑똑하신 분들이라 생각이 들어서 제가 괜히 말씀 드리는게 죄송스럽습니다. 그래도 병원에서는 겁주는 곳은 계속 겁 주고 괜찮다는 곳은 위험할 순 있는데 한번 빼고 이후를 보자고 하는데 실질적인 해결 방법은 없는 것 같아 머리가 아픕니다. 일단 궁금한 부분은 이렇게 정리합니다..1. 사랑니로 인한 염증이 있는데 ARP(치조제 보존술/자가치아골 이식)을 해도 유의미한 의미가 없을까요?2. 발치 먼저 진행 한 뒤 경과를 보고 골이식을 해도 괜찮을까요? 발치 후 바로 골이식을 해야 예후가 좋을 수 있다고 해서 걱정입니다. 3. 사랑니 발치 후 어금니 관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위험한건 맞는데 아무도 발치 하고 어떻게 조치나 생활해야 할지에 대해 알려주지 않아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퇴직금 계산시 소정근로시간 기준 문의소정근로 6+7.5+7.5+7.5+6 = 34.5시간 / 5일로 나누면 6.9시간34.5시간 + 6.9 시간 = 41.4 시간2. 월 소정근로 179.88시간 (41.4시간 x 4.345주)3. 시급 15,010근로기간 2024년6월10일 - 2025년12월31일 (1년6개월22일 / 570일)★1일 평균임금 = 마지막3개월급여(8,100,000) / 92일 = 88,043원 ★1일 통상임금 = 통상시급 15,011 x [41.4(주 소정근로시간) / 5일] = 124,291★통상임금이 높을시 퇴직금 정산은 통상임금을 적용한다 (근로기준법)퇴직금계산 = 평균(통상임금)임금 x 30 x 1.56(570/365) = 5,822,948여기서 궁금한점은 1일 통상임금을 구할 때, 주 소정근로시간 41.4 시간 즉 주휴시간 포함한 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이 맞는건가요 ? 일반 풀타임 근무도 주 40시간 근로자는 1주 소정근로시간을 48시간(40시간+주휴 8시간)에 평균 주수 4.345를 곱해 월 209시간으로 산정합니다라고 나와있길래요.. 계약서상 시급인 15,011 금액이 주휴시간 포함인 41.4 시간으로 나눈 금액입니다.만약 퇴직금 계산시 주휴시간을 빼야한다면 퇴직금 계산시 사용해야할 시급또한 주휴시간을 제외하고 계산되어야 하는건 아닌가요..
- 법인세세금·세무Q. 대학교 창업프로그램에서 상 수상시 원천징수 얼마나?안녕하세요.교내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지원자 10명 미만) 평가를 통해 상금을 지급하였습니다. (대표자가 본교 대학교 구성원임)최대 200만원부터 최소 50까지 있는데요. 상금을 지급할 때 원천세를 얼마나 떼고 줘야 하는지요?그리고 그동안은 법인 기업이면 법인에서 알아서 세금신고하라고 상금 원금을 지급했고 개인사업자에게만 원천세를 (4.4%) 떼고 지급했는데 8.8 을 떼야하는건지요?관련 법령과 예시로 계산법도 같이 안내부탁드립니다 ㅠㅠ
- 종합소득세세금·세무Q. 고3 실습생 원천세 신고, 명세서 제출방법 문의드려요안녕하세요고등학생 실습생들이 근무하고 있는 상황인데요실습에 대한 실습 수당은 기타소득으로 분류하여 기타소득세 22%에서 필요경비 60%를 감면 후 총 8.8%의 기타소득세를 공제하여 지급할 예정입니다10월부터 근무하여 11월까지의 급여를 한번에 신고하려고 하는데더존에서 기타소득자 입력 > 기타소득자료 입력까지 한 상태인데요,혹시 명세서를 매월 제출해야하나요?매월 제출해야한다면 어떤 명세서를 제출해야하나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편의점 알바 근로자 계약에 관해서 질문 드립니다편의점 알바에 뽑혀서 계약을 하려는데 점주님께서 최저시 급에서 10퍼센트를 까고 또 뭐 편의점 알바는 프리랜서 어 쩌고 하시면서 8.8퍼센트를 또 까신다고 하셨는데 10퍼센 트 빠진 것과 8.8 퍼센트 빠진 것이 각각 무엇에 해당해서 빠지는 건지 알 수 있을까요?정리하자면 수습기간 3개월동안 실질적 버는돈은 8750원이고 수습기간 후에는 8950원으로 달라집니다.그리고 원래 편의점 알바생도 프리랜서로 취급이 되나요?
- 생활꿀팁생활Q. 키가 155cm 인데 88cm 코트 괜찮을까요?롱코트를 이번에 샀는데 다 마음에 드는데 딱 하나가 걸리더라구요.. 기장이 88cm입니다. 무릎 아래로 내려오는 기장이엇으면 좋겠는데 제 키에 88cm 코트는 어느정도 까지 내려올까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퇴직금 계산시 소정근로시간 기준 문의소정근로 6+7.5+7.5+7.5+6 = 34.5시간 / 5일로 나누면 6.9시간34.5시간 + 6.9 시간 = 41.4 시간2. 월 소정근로 179.88시간 (41.4시간 x 4.345주)3. 시급 15,010근로기간 2024년6월10일 - 2025년12월31일 (1년6개월22일 / 570일)★1일 평균임금 = 마지막3개월급여(8,100,000) / 92일 = 88,043원★1일 통상임금 = 통상시급 15,011 x [41.4(주 소정근로시간) / 5일] = 124,291★통상임금이 높을시 퇴직금 정산은 통상임금을 적용한다 (근로기준법)퇴직금계산 = 평균(통상임금)임금 x 30 x 1.56(570/365) = 5,822,948여기서 궁금한점은 1일 통상임금을 구할 때, 주 소정근로시간 41.4 시간 즉 주휴시간 포함한 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이 맞는건가요 ?일반 풀타임 근무도주 40시간 근로자는 1주 소정근로시간을 48시간(40시간+주휴 8시간)에 평균 주수 4.345를 곱해 월 209시간으로 산정합니다라고 나와있길래요..계약서상 시급인 15,011 금액이 주휴시간 포함인 41.4 시간으로 나눈 금액입니다.만약 퇴직금 계산시 주휴시간을 빼야한다면 퇴직금 계산시 사용해야할 시급또한 주휴시간을 제외하고 계산되어야 하는건 아닌가요..1일 통상시급 구할때 주휴시간이 포함된 41.4(주휴시간포함) 이걸로 계산이 아닌 실제 근무 시간인 주휴 제외인 34.5 시간으로 계산하여야 한다고 하는데 ..고로 제 질문 사항은 퇴직금때 적용할 1일 통상임금 산출 계산시에 1. 주 소정근로시간이 실제 근로시간으로 계산 34.5/5일 = 6.9 시간 곱하기 15,010(통상시급) 2. 주 소정근로시간이 주휴 포함 시간으로 계산 41.4/5일 = 8.28 시간 곱하기 15,010(통상시급) 이 두가지 중 어떤게 맞나요. 제 생각은 시급계산 또한 !!주휴 포함인 시간!! 으로 계산되었기에 2번이 맞다고 생각 합니다. 그리고 근로기준법상 주 소정근로시간은 주휴가 포함된 시간이라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하루 통상임금을 구할때 5일로 나누는 것이 맞는것인지 근로기준법 조항을 찾아봐도 모르겠어서 문의 드립니다.
- 법인세세금·세무Q. 대학교 교내 창업기업들에게 평가를 통한 돈 지급할 때 "상금" 용어 vs "지원금"용어 에 따른 지급 방법 차이안녕하세요.교내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평가를 통해 금은동상으로 나누었고 상금도 있습니다.(대표자가 본교 대학교 구성원임)최대 3천만원까지 지급하는데요, 지원금 vs 상금 이라는 용어를 구분해햐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만약 지원금의 형태로 지급하면 기업입장에서 매출로 인식되어 기업에서 별도로 법인세?를 신고하면 된다고 들었는데요. (학교에서는 원천세 따로 안 빼고 돈을 그대로 지급)근데 만약 상금의 형태로 지급하면 학교(제공자)에서 원천세를 무조건 떼고 지급해야한다고 들었는데어떻게 해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상금을 지급할 때 원천세를 얼마나 떼고 줘야 하는지요?그리고 그동안은 법인 기업이면 법인에서 알아서 세금신고하라고 상금 원금을 지급했고개인사업자에게만 원천세를 (4.4%) 떼고 지급했는데 8.8 을 떼야하는건지요?관련 법령과 예시로 계산법도 같이 안내부탁드립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