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예술치료의 효과는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술 치료(영어: arts therapy)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과 현대 의학, 심리 치료 이론, 상담 이론이 통합된 다각적인 치료기법이다. 창조적인 예술 활동을 통해 내담자의 감정이나 내면세계를 자발적으로 표현하게 하고, 사고나 감정, 행동의 제한점을 개선 및 유지시키는 것에 활용되고 있다.예술 치료는 예술의 장르가 다양하고 치료의 개념이 치유와 구별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어 다양한 유형으로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미국 미술치료협회(영어: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는 예술 치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미술 치료(영어: Art therapy)란 전문적 관계 내에서 병, 트라우마 또는 삶에서의 도전들에 직면한 사람들이나 개인적 성장을 추구하는 사람들에 의해 예술 작업이 치료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1]캐나다 음악치료협회(영어: Canadian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의 음악 치료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음악치료(영어: Music therapy)란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통합을 돕고 병과 결함을 치료하는데 음악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2]공통적으로 예술치료는 정신질환, 자폐증 등 구체적인 질병을 갖고 있는 사람들 외에도 일반인 각자의 인격 성장과 발전, 자아 통찰력의 증진 등 자아성찰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학문 /
미술
23.05.03
0
0
미디어아트란 무엇인지 자세히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로 컴퓨터 기술을 사용한 미디어 본연의 자세를 찾는 아트 표현. 비디오나 TV 등을 사용한 작품도 미디어 아트라 부르는데 이 용어가 빈번하게 사용된 것은 인터넷이나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달한 1990년대 이후이다. 컴퓨터를 이미지 묘사 도구로만 사용한 컴퓨터 그래픽스(CG)와 컴퓨터를 미디어로 사용한 미디어 아트와는 별개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미디어 아트에는 전시장에서 개개인의 신체로 체험하지 않으면 안 되는 국부적인 작품 전시 형식에서부터 읽기 전용 콤팩트디스크 기억 장치(CD-ROM)나 플로피 디스크로 배포된 것과, 통신망을 이용해서 가정의 개인용 컴퓨터(PC)로 참가할 수 있는 편재성(偏在性)이 높은 프로젝트까지 폭넓은 형태가 있다.
학문 /
미술
23.05.03
0
0
신숭겸 장군의 성장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숭겸의 활솜씨가 뛰어났는지 함께 황해도 평산으로 사냥을 나간 왕건이 날아가는 기러기 떼를 가리키며 "저 기러기 떼 중 앞에서 세 번째로 가는 기러기를 맞춰 보라."라고 명하자 화살을 쏴서 기러기를 떨어뜨렸다는 일화가 남아 있는데 이 이야기가 평산 신씨의 본관이 평산이 되는 유래이다.신숭겸 이전에는 성씨가 없었고 출신은 미천했을 것이란 주장도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신라 중앙의 왕족, 귀족층이나 장보고처럼 중국물 먹은 사람이 아니면 지방 명문가 출신들도 성씨가 없는 경우가 허다했다. 비록 후백제 사람이기는 하지만 이찬이었던 능환조차 성에 대한 기록이 없다.[3] 그 외에도 정2품 대광이었던 만세나 매곡성주 공직 등 고위층이나 유력가이면서도 성씨가 전해지지 않는 사례는 많다. 고려사 태조 시기를 살펴보면 성씨가 없는 관료나 호족들이 수도 없이 등장하는데 동일 시기에 성씨가 전해지는 박지윤, 유천궁 같은 유력 호족들 역시 당대에 자칭하고 세보를 꾸몄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수많은 성씨들의 시조가 후삼국시대 호족이다.고려 개국에 기여한 무장들 중에서는 일찍 죽음을 맞이하였는데 왕건이 신라를 구원하기 위해 출전했던 공산 전투에서 후백제의 견훤에게 참패하고 죽음의 위기에 처하자 신숭겸은 한고제 유방을 살리기 위해 미끼가 되어 죽은 기신을 본따 자신이 왕건의 투구와 갑옷을 빌려 입고 미끼가 되어 후백제군을 유인했으며, 왕건은 일반 군졸의 옷을 입고 탈출하는데 성공하여 신숭겸의 희생 덕분에 왕건은 겨우 도망칠 수 있었다. 후백제군은 신숭겸이 왕건인줄 알고 쫓았고 결국 신숭겸은 전사했으며 함께 유인 작전에 나선 김락, 김철, 전이갑·전의갑 형제와 그 사촌동생인 전락, 개국공신 평장사 호원보, 대상 손행을 포함한 8명의 장수가 전사했다. 이 때 4명을 포함하여 모두 8명의 장수가 전사하였다 하여 공산의 이름이 팔공산이 되었다 한다.훗날 참수된 신숭겸의 시신은 왼쪽 발 밑에 북두칠성 모양의 사마귀가 있다는 것을 근거로 겨우 찾았지만 머리는 끝내 찾지 못해서 왕건은 황금으로 머리를 만들고, 미리 정해둔 자신의 신후지지(身後之地)에 매장해주었다. 신숭겸의 무덤은 봉분이 3개인데 머리를 대신한 황금 두상을 지키고자 이렇게 했다고 전한다. 이 묘자리는 풍수지리가들이 명당 중에 명당이라고 극찬하기도 한다. 가보면 석물 같은 게 없을 뿐이지 영락없는 왕릉의 모양새를 하고 있으며 맑은 날씨에 묘로 올라가보면 춘천시내가 훤히 보인다.
학문 /
역사
23.05.03
0
0
전태일 분신 자살 사건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태일은 대한민국의 노동자이자 노동운동가이다. 1960년대 후반 평화시장의 봉제 공장에 취직하고, 1970년부터는 재단사로 일하면서 노동자의 권리를 위해 노력했다. 노동환경의 열악한 현실을 알리고자 박정희 정부와 자본기업들에게 근로기준법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다가, 시위 현장에서 자신의 몸에 휘발유를 끼얹고 불을 붙이며 근로기준법 법전과 함께 분신자살하여 22세의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학문 /
역사
23.05.02
0
0
삼국지에서 동탁이라는 인물은 어떻게 역사가 평가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당시대 이전까지 거의 약 400년 가까이 지속된 삼국시대-오호십육국 시대-남북조 시대의 시초인 악인이자 사실상 만악의 근원이자 이 모든 일들이 벌어지게 한 실질적 장본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제갈량과 노숙 등의 천하삼분지계를 보면 동탁이 워낙에 나라를 말아먹었다는 언급이 나오는 걸로 보아 당대에 동탁은 이미 악으로 규정되어 있었다. 동탁의 행적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1) 황제를 갈아치움으로써 정통성 붕괴 초래.2) 이유야 어쨌건 군벌과 대치 중 수도를 옮김으로써 중앙 권력 붕괴 초래.3) 화폐를 마구 찍어내 인플레이션을 일으켜 경제를 붕괴시켰는데, 그나마도 제대로 찍지 못해서 정규화폐가 위조화폐보다도 더 조잡한 상황이 되어 위조화폐가 난립함.4) 본인의 계급장을 본인 맘대로 마구 달고 그걸로 전횡을 부린 탓에 중앙 관직의 권위를 붕괴시킴.5) 이외에도 백성들을 학살하는 등 셀 수 없는 악행을 저지름.
학문 /
역사
23.05.02
0
0
원주시 로아노크로 이름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름이 유래된 것은 원주의 자매도시인 미국 버지니아주 로아노크의 시명을 반영하였다.
학문 /
역사
23.05.02
0
0
유대인이 고리대금업자의 원조였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 유대인은 대개 유럽인들과 무슬림들에게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로 차별을 받았다. 제대로 된 일조차 구하지 못했기에 서유럽의 유대인들은 대부분 금융업에 종사했고 이는 고리대금업을 금하는 기독교 사회 안에서는 더욱 배척받고 미움받는 원인이 되었다. 기독교 사회였던 중세 유럽에서 유대인은 토지를 소유할 수 없기에 농사도 지을 수 없었고 조합에 가입할 수 없어 상업도 공업도 제약이 극심했다. 그러다보니 유대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고리대금업밖에 없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키스해링이라는 작가는 작품에 어떠한 것들을 표현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링은 다른 낙서화가들과는 다르게 자신의 작품을 거리와 지하철에서 벗어나 티셔츠와 장난감, 공익광고와 포스터, 벽화 등으로 제작하였고 상업화하였다. 그는 탄생과 죽음, 사랑, 전쟁과 평화 등의 우주관을 바탕으로 자신의 작품활동을 통해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표현하고 인종차별 반대, 에이즈 교육, 동성애자 인권운동 등의 사회문제를 그림 속에서 다루었으며 상위예술과 하위예술간의 장벽을 무너뜨리려 노력한 그의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고 있다.
학문 /
미술
23.05.01
0
0
명동성당은 언제 건립된 것인지 유래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적 건물의 평면 길이 약 69m, 너비 28m, 높이 23m, 종탑 높이 47m. 건축면적 약 1,500㎡. 종현성당(鐘峴聖堂)·명동천주교당이라고도 하며 1892년(고종 29)에 착공해 1898년에 준공했다.명동성당 자리는 1784년(정조 8) 역관 김범우(金範禹)의 집으로 이승훈(李承熏), 정약전(丁若銓)의 3형제, 권일신(權日身) 형제 등이 모여 종교집회를 가짐으로써 조선천주교회가 창설된 곳이기도 하다. 설계와 공사감독은 프랑스인 신부 코스트(Coste 高宜善)가 담당하고, 중국인 벽돌공·미장이·목수 등이 동원되었다. 1866년 병인박해 때 순교자들의 유해를 지하묘지에 안장했으며, 1945년 이름을 종현성당에서 명동대성당으로 바꾸었다. 1939년 문화관이 준공되고, 1947년 가톨릭출판사를 설립해 각종 출판물을 간행하고 있다. 교회창설 200주년을 맞아 1981년에 스테인드 글라스, 지붕동판교체 등 대대적인 수리공사에 착수해 1984년 마무리했다. 건물의 평면은 라틴 십자형 삼랑식(三廊式)이고, 고딕 양식의 벽돌건물이다. 한국 천주교를 대표하며 구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독일 철학자 하이데거가 결국 하고 싶었던 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이데거는 서양 철학이 플라톤 이후로 "어떠하다(성질)”라는 뜻을 "존재"라는 개념을 써서 접근하려고 했지, 존재 자체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즉, 존재에 대한 모든 연구가 특정한 성질에만 국한되어있고, 존재 자체를 어떤 성질이 있는 형질로 취급했다. 하이데거는 "존재를 이미 상정하는 전제"를 분석하는 것이 어떤 대상을 탐구하는 데 우선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철학자와 과학자가 더 기본적이고 이론에 앞서는 존재를 무시했기 때문에 그들의 이론을 보편적으로 주장하는 것이 잘못 되었으며, 우리가 존재와 인간 존재를 그릇되게 인정하였다. 이러한 뿌리깊은 몰이해를 피하기 위하여, 하이데거는 철학의 역사를 하나 하나 되짚어 보면서 철학적인 질문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기해야 한다고 믿었다. 후기의 주요 저작으로는 《철학에의 기여》, 《기술에 대한 논구》 등이 있다.
학문 /
철학
23.05.01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