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옛날에 목판 인쇄는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과학기술에서 가장 뛰어난 것은 뭐니뭐니 해도 인쇄술의 발달이었다. 오늘 날 남아있는 각종 인쇄물 및 인쇄장치는 신라 때부터 발달했던 목판 인쇄술이 고려시대에 이르러 최고의 수준에 이르렀음을 입증해 주고 있다. 이 시기 인쇄술은 목판 인쇄술이 발달하여, 종국에는 금속 활자 인쇄술으로 발전하였으며, 대표적인 인쇄물로는 상정고금예문, 직지심체요절 등이 있다. 1234년에 인쇄된 상정고금예문은 서양의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보다 200년 정도 앞서는 것이었다. 고려의 활판인쇄기술에서는 활판을 고정시키는 기술이 발달하지 못하였으나, 서양에서는 활판을 죄어주는 중치가 사용되어 대량인쇄를 가능하게 하였다. 서양에 비해서 고려의 인쇄기술로는 대량인쇄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인쇄술로 인하여 지식층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지는 못하였다. 한편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제지술도 발달하였다. 제지술은 닥나무 재배를 장려하여 종이 제조 전담 관서를 설치하여 중국에 수출하였다. 당시 고려에서 만든 종이는 중국에 수출되어 호평을 받았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중앙아시아의 어느나라에 고려인들이 살고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즈베키스탄, 키르키즈스탄,카자흐스탄 등에 고려인의 후손들이 살고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1
0
0
남북이 통일된다면 서울은 통일 한국의 수도가 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의 경우 수도를 베를린으로 정했습니다베를린은 동,서독 같이 존재했던 도시로 도시전체는 동독에 속해있었죠.통일이 되면 서울을 수도로 고집해서만은 안됩니다.북한이 대한민국의 경제 상황까지 발전할 수 있도록 북쪽에 많은 혜택을 줘야합니다
학문 /
역사
23.04.30
0
0
천도교와 천주교는 어떻게 다른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천도교는 동학운동의 최재우가 창시한 한국의 민족종교천주교는 서양에서 들어온 하느님을 믿는 신앙
학문 /
역사
23.04.30
0
0
중종이 3번째 왕비를 궁 밖의 인물로 뽑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래 중전의 자리가 공석이면 후궁들중에 출중한 사람을 골라 중전에 올리는게 관례였지만, 문정왕후의 경우에는 달랐다. 후궁들중에 인물이 없었을뿐만아니라 경빈박씨의 아들이 원자가 되는것만은 막아야했기 때문에 궁밖에서 또다른 중전의 후보를 뽑을수밖에 없었다
학문 /
역사
23.04.30
0
0
태종이 양녕대군을 세자에서 밀어낸 이유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녕은 태종이 왕위에 오르자 장자승계의 원칙에 의해 세자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그는 공부에 신경 쓰지 않고 노는 것을 좋아해서 태종의 골치를 썩였지만, 태종은 세자를 함부로 교체할 수 없었던 터라 얼마 동안은 타이르기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자가 계속해서 말썽을 부리자, 세자궁을 대궐 가까이에 지어 공부를 열심히 하는지 자주 살피라는 우빈객 이래의 말에도, 다 큰 부자지간에 그렇게 간섭하면 반드시 서로의 사이가 나빠진다며 듣지 않았을 정도. 태조가 왕위 서열을 무시하고, 형제 중 막내인 방석을 세자로 세우자, 왕자의 난을 일으켜 형제들의 피를 보고 권좌에 오른 이였던 만큼, 태종으로서는 장자인 양녕에게 피를 보지 않고 왕위를 물려주고 싶었던 것이리라.그러나 양녕은 이오방, 구종수와 궐을 나가 논 것을 비롯하여, 전 중추부사 곽선의 첩, 어리를 납치해 궐로 데려온 큰 사건 이전에도 숱하게 말썽을 부리고 공부를 게을리 해, 태종과 원경왕후의 속을 시꺼멓게 태웠다. 실록에 보면, 태종이 지신사(知申事) 조말생을 은밀히 불러 세자가 공부를 않고 놀기만 좋아하며 황음(荒淫: 함부로 음탕한 짓을 함)하는 것이 심하니 어쩌면 좋으냐고 눈물을 줄줄 흘리며 한탄을 했다는 내용이 있을 정도이다.[7]태종이 양녕이 저지른 사고들을 마무리 짓고자, 그와 어울리던 패거리를 벌주고, 그 중 몇은 파직시키자 양녕이 곡기를 끊은 적이 있었는데, 이를 보다 못한 원경왕후가, 너는 어리지도 않은데 지금 어째서 부왕(父王)께 이와 같이 노여움을 끼치느냐? 이제부터는 조심하여 효도를 드리고 또 밥을 들도록 하라[8]며 꾸지람을 한 적도 있다고 한다.상술(上述)했다시피, 양녕은 어리라는 여인과 나누던 밀회가 발각되어 태종으로부터 크게 꾸지람을 듣고, 장인인 김한로가 태종으로부터 문책을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리를 장인의 집에 숨겨두고[9] 아이까지 갖게 한 일(…)이 드러나 태종이 대노하여 질책하자, 양녕은 "아바마마도 첩 많으면서 왜 내가 축첩하는 것은 안 되는 것입니까?" 라며 반박하는 내용의 수서(手書)를 올려 태종을 당황케 한 일도 있다. 태종은 답답했는지, 영의정 유정현, 좌의정 박은에게 수서를 보여주며, "얘를 어쩌면 좋냐"며 한탄했다. 그 외에도 양녕은 기생들과 놀고, 매사냥을 즐기며, 꾀병을 부려 서연(書筵)[10]을 피하는 등 온갖 말썽이란 말썽은 다 부렸다.'세자양보설'과 반대로, 충녕대군이 인격과 학문 양쪽 모두에서 뛰어난 자질을 보이자, 세자 자리에 있었음에도 아우에게 경계심을 가졌던 듯하다. 여러 대군들과 함께 부마 이백강의 연회에 가서 기생과 놀다가, "충녕은 보통 사람이 아니다"고 말했다는 기록이 있다. 기사 여기까지만 봐도, 양녕대군의 행적만 보면 그간 태종이 화병이 안 생긴 것이 신기한 걸 넘어 이상할 따름이다. 양녕대군이 이 분의 아들이었다면, 폐세자로 끝나는 게 아니라 이렇게 됐어도 할 말이 없을 상황이었다
학문 /
역사
23.04.30
0
0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단독창제인가요 집현전 학자들과의 공동창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동창제가 맞지요!~ 그 방대한 작업을 어찌 대왕께서 헌자 하셨겠습니까?집현전학자들과 같이했던 영화도 있지 않습니까? ㅋㅋ그분들 덕에 오늘날 우리가 위대한 한글로 소통하고 있어 감사할 따름입니다ㅡ
학문 /
음악
23.04.30
0
0
소프라노,테너,바리톤 처럼 성악을 구분짓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악가가 소리낼수 있는 음역대로 구분짓습니다.소프라노는 여성중 가장 높은음역대를 연주하는 파트구요, 음색이나 테크닉에 따라 콜로라투라,리릭,드라마틱 등으로 세분화됩니다.남성은 테너가 가장 높은 소리, 중간음역대 바리톤, 저음을 노래하는 베이스로 나눕니다.각 파트마다 가장 아름다운 음역대를 아름답게 노래할수있을때 구분짓기도 합니다.
학문 /
음악
23.04.30
0
0
하고 싶은 ** 어느 것이 맞는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 생각에는 당연히하고싶은데요!~ 가 맞을것 같은데요. 다른 3개는 틀린표현같습니다
학문 /
음악
23.04.30
0
0
측천무후는 성군인가요? 폭군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실 측천무후 역시 몇몇 여성 지도자들처럼 붕어한 후 반대 세력이 정권을 잡으면서 긍정적인 면은 거의 감춰지고 부정적인 면이 부각되었다는 평가가 많다. 특히 무후에 대해서는 영 부정적인 인상이 매우 강하다. 가장 큰 이유는 잔인한 숙청과 공포정치 때문이었다.그러나 관롱집단의 위력을 강조하는 이들에 따르면 무후의 잔인함은 자신의 성격보다도 당시 시대 상황이 무후의 성향과 맞물린 선택이었다는 주장도 상당하다.
학문 /
역사
23.04.30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