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구려는 안시성에서 어떻게 수많은 당나라 군대를 이길 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44년 11월 당은 약 10만 명의 대규모 원정군을 편성해 고구려의 요동공격을 시작했다. 당군은 개모성·비사성·요동성·백암성을 차례로 함락시켰다. 태종은 안시성을 우회할 것을 주장했으나 이세적의 건의를 받아들여 안시성을 공격했다. 고구려 중앙정부는 말갈군을 포함하여 15만 명의 군사를 안시성 구원을 위해 출동시켰으나 고전 끝에 항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립된 안시성의 저항은 완강했다. 계속 안시성을 공격한 당군은 성 안을 공격하기 위해 성과 같은 높이로 흙산을 쌓았다. 그러나 흙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을 무너뜨리자 고구려군은 성벽 밖으로 나와 이를 점령하고, 나무를 쌓아 불을 지르니 당군은 접근하지 못했다. 당군은 3일간 맹렬한 공격을 퍼부었으나 실패했고, 이로써 당의 1차 고구려원정은 실패로 끝났다
학문 /
역사
23.04.26
0
0
세계 최초의 수세식 화장실은 어디에서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고학 연구소는 2400년전 흙으로 빚어 만든 변기와 오수를 옥외로 배출하는 배수구 두 부분으로 구성된 수세식 화장실 유물을 발굴했다. 물을 공급하는 화장실 상부 구조는 훼손돼 남아 있지 않았다.중국 고고학계는 이 유적은 고대 궁궐 유적에서 발굴한 유일한 화장실이자 최초의 수세식 화장실 유물이라고 주장했다.수세식 화장실 유물 발굴은 중국 주장일 뿐 아직 확실치 않은 상태다. 하지만 벌써부터 수세식 화장실 원조는 중국 것이라고 우길 수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학문 /
역사
23.04.26
0
0
양귀비가 황제의 아들과 결혼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귀비는 10살에 부모를 여의고, 친적에게 수양딸로 있다가 공주와의 친분으로 결혼식에 참여했다가 수왕에게 눈에띄어 결혼할 수 있었는데, 일단 미모가 뛰어났고, 당대 최고의 춤인 화선무를 잘 췄고, 악기연주도 탁월했다고 한다
학문 /
역사
23.04.26
0
0
언더독 효과는 어떤 효과를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려운 환경에 있거나 경쟁에서 지고 있는 사람이 이기길 바라는 현상이다. 언더도그(Underdog)란 싸움에서 진 개를 부르는 명칭으로 ‘패배자, 약자’란 뜻이다. 선거나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토리텔링과 결합해 언더도그 효과를 활용하고 있다. 어려운 환경에서 초라하게 시작했지만 역경을 이겨내는 도전정신을 강조하는 마케팅은 ‘언더도그 마케팅’이라 한다. 선거철에 정치인들이 분식이나 국밥을 먹으며 서민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도 언더도그 효과를 노린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학문 /
미술
23.04.26
0
0
현종 시대 예송 문제가 있었는데, 기해예송과 갑인예송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송논쟁은 정치적, 철학적, 윤리적 상징성이 엄청났던 사건이었다. 표면적인 이유는 단순한 복식 정도였지만, 배경적으로는 서인과 남인(더 정확하게는 동인) 시절부터 있었던 이기일원론과 이기이원론의 문제, 더 나아가서는 조선 초기부터 존재하였던 조선의 통치 체제 문제까지 걸려 있던 일대 격전이었다. 그리고 이런 문제가 효종의 정통성과 맞물려 대폭발로 이어진 것이 바로 예송논쟁이다. 실제 송시열이 체이부정 이야기를 꺼낸 순간 정태화가 기겁하고 막아서며 경안군 이석견을 이유로 송시열을 막았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미 예송은 시작부터 왕의 정통성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문제였다. 다만 정통성 논쟁은 말을 꺼낸 순간부터 역모로 처벌될 수 있는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이며, 그래서 그나마 곁다리로 낀 상복으로 논쟁을 벌인 것이다. 그리고 논쟁 당사자들도 상복은 그저 꼼수라는 것을 시작부터 알고 있어서, 정태화가 이석견(소현세자의 막내아들)을 이야기하거나, 윤선도가 상소에서 왕의 적통과 종통을 이야기한 것이다.1차 기해예송1659년 5월 효종이 승하한 후 인조의 계비인 장렬왕후가 효종을 위해 입어야 할 상복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인데, 이에 관해 모두가 머뭇거릴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효종이 적자이긴 했지만 형 소현세자에 대해 이미 어머니가 큰아들에 대한 장례를 마쳤었다. 왕위를 계승받은 국왕이었으므로, 종법상 모후인 장렬왕후가 효종을 위해 1년짜리 상복인 기년복(朞年服)을 입어야 하는가 3년짜리 참최복(斬衰服)을 입어야 하는가가 문제된 것이다. 이에 관해 조정 신료들이 물밑에서 조심스럽게 논의를 시작하였다.2차 갑인예송현종 15년(1674) 효종의 부인이자 현종의 어머니인 인선왕후가 사망했다. 이때도 장렬왕후가 살아 있었기 때문에[20] 장렬왕후가 상복을 입어야 하는 기간으로 논란이 벌어지게 되었다. 효종 때는 《경국대전》이 장자와 차자를 같게 취급해 기년복을 입어도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며느리의 경우 사정이 달라 맏며느리는 기년복인데 다른 며느리는 9개월짜리인 대공복(大功服)을 입도록 규정해 문제가 되었다.
학문 /
역사
23.04.26
0
0
선조 대 붕당 정치가 시작 되었는데, 전개 양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인은 조식, 남인은 이황, 노론은 이이, 소론은 성혼선종때 정여립모반사건으로 동인 개죽음 기축옥사정철의 건저의사건때매 동인은 북인(강경) 남인(온건) 갈림광해군때는 북인이 권렸을 잡았고, 인조, 효종땐 서인이 집권현종때 기해예송은 서인1년, 갑인예송은 남인1년숙종경신환국 윤후사망 서인집권 노롱소론갈림기사환국 윤시열사망 남인집권 (장희빈)갑술환국 동이(최숙빈) 장희빈 다시 후궁으로 인현왕후 중전서인집권 이때부터 노론v.,s소론 절정노론은 영조 지지소론은 경종 지지
학문 /
역사
23.04.26
0
0
미국 국기에 있는 별이 원래는 13개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은 50개주로 구성된 연방국가이며 50개의 주가 50개의 별로 표현 되었습니다.즉, 성조기에 들어간 50개의 별의 개수는 미국을 이루고 있는 주들의 숫자와 일치합니다.50개의 별은 알래스카와 하와이를 포함한 현재의 주의 숫자를 의미하며 붉은색과 흰색 줄무늬는 총 13개로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처음 독립할 때의 주를 의미합니다.미국의 국기인 성조기는 1776년 7월 4일 미국이 영국으로 독립을 선언한 후 1777년 6월 4일에 정식으로 계정되었어요.
학문 /
역사
23.04.26
0
0
히틀러는 어떻게 총리와 대통령을 겸직하는 총통이 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히틀러는 국가수상직으로 독일을 통치하다가 당시 대통령 힌덴부르크가 죽으면서 대통령직도 겸직하게됨그러나 대통령의 권한과 수상의 권한을 합쳤을뿐 공식 직위는 지도자(퓌러) 겸 국사수상이었음퓌러라는 단어는 우리나라 말로 하면 공식적인 직책이기 보다는 북한에서 김정은 찬양할때 쓰는 영도자, 영도인, 최고지도자 이런 말에 가까움그러니까 히틀러는 이때부터 그냥 독일을 법적으로 통치하는 통치자가 아니라 독일민족의 우상이고 약간 어떻게보면 영적인 존재였던거임근데 총리와 대통령을 합쳤다는 이유로 총통이라는 번역으로 한국에 들어옴
학문 /
철학
23.04.26
0
0
조선시대 이종무 장군이 대마도를 점령하였는데 왜 대마도는 조선 땅이 되지 않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정벌하고 쓰시마에 대한 보고를 올렸는데, 땅이 척박하고 농사지을만한 곳이 없으며 사람이 정착하여 살 수없는 쓸모없는 땅이라고 여겼던것 같습니다ㅡ 참 안타까운 부분인데요....ㅠ 그리하여ㅠ한마디로 버렸다고 벌수 있지요. ㅠ
학문 /
역사
23.04.25
0
0
구화지문이라는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입은 재앙의 문이다. 재앙이 입으로부터 나오고 입으로부터 들어가므로 항상 말을 조심하라는 뜻이다.출전입은 재앙의 문이요혀는 몸을 베는 칼이다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처해 있는 곳마다 몸이 편하다口是禍之門舌是斬身刀閉口深藏舌安身處處牢- 풍도(馮道) 〈설시(舌詩)〉이 시는 《전당시(全唐詩)》에 실려 있다. 풍도는 당나라 말기에 태어나 당나라가 망한 후에 들어선 오대십국 시대의 후당(後唐)에서 재상을 지냈다. 그리고 후당의 뒤를 이어 들어선 후진(後晉), 그 뒤를 이은 후한(後漢), 다시 그 뒤를 이은 후주(後周) 등 여러 왕조에서 벼슬을 하며, 73세까지 장수를 누렸다.
학문 /
역사
23.04.25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