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근로계약서를 쓸 때가 있고 안 쓸 때가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입사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였다면 근로조건이 변경되지 않는 이상 다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3.07.18
0
0
2분 5분 늦는것도 지각처리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1분만 늦어도 지각이고 일하지 않은 시간에 대한 임금은 차감될 수 있습니다. 다만 몇분 늦은 것으로 30분이나 1시간의 임금을 차감할 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7.18
0
0
주휴수당 지급 기준 여부 확인의 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주 5일이 출근의무가 있는 근무일인 경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5일을 유급휴가(연차유급휴가+여름유급휴가)를 사용한 경우에는 1주간 소정근로일수가 없기 때문에 개근해야 하는 출근의무가 있는 날이 없으므로 유급주휴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7.18
0
0
아파트 관제실 근무중에 용역회사가교체되서 퇴직금.연차휴가비 를 받을수잇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근로자가 계속하여 1년이상 근무한 경우 퇴직금을 청구 할 수 있습니다. 계속하여 근로하는 것의 의미는 동일한 사용자와 계약하여 근로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용역업체가 변경되는 경우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새로운 용역업체가 당해 근로자의 과거 제공한 근로기간까지 소급 적용한다는 별도의 특약이 없는 한 퇴직금과 1년이상 근무할 때 발생하는 15일의 연차유급휴가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8
0
0
아르바이트 급여는 급여일 상관없이 15일 안에 입금 처리 해야 하나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36조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근로계약서 작성시 퇴사한 다음 임금일에 정산하도록 정하는 등의 별도 합의가 없었다면 지급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7
0
0
사내대출은 당일로 받아볼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사내대출에 관하여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바가 아닙니다. 회사에서 사내대출을 해주는 경우 사유와 금액 기간 등은 회사에서 정한 바에 따릅니다. 회사에 문의하여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7.17
0
0
최저임금 산정 기준을 다르게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최저임금 위반 여부는 그 달의 근로시간에 대한 임금이 최저임금에 미달되는지 여부를 각각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7
0
0
무단 퇴사 민사소송 피해보상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근로자의 무단 퇴사로 회사에 손실이 발생했다면 회사에서 이를 산정하여 소송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근로기준법이 강제근로를 금지하고 있어 근로자의 고의나 중과실이 아니라면 손해배상이 인정되기는 쉽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해고·징계
23.07.17
0
0
일이 바빠서 점심시간에 스스로 근무하는 경우 휴게시간 따로 지급 의무?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상 4시간이상인 경우 30분이상, 8시간 이상인 경우 1시간이상의 휴게시간을 부여하여야 합니다. 이에 대하여 근로자와 합의하였다고 하여도 휴게를 부여하지 않는 사업주는 처벌될 수 있습니다. 휴게시간이 정해져 있다고 하여도 근로자가 자유롭게 쉬지 못하고 근무하였다면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7
0
0
일주일만 근무하는데도 근로계약서 작성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상 대체근무자라고 하여도 또는 하루만 일해도 근로계약서는 작성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7.17
0
0
1855
1856
1857
1858
1859
1860
1861
1862
1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