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주식관련 KOSPI 와 KOSDAQ 차이점 문의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큰 이유는 아무래도 회사의 규모입니다.코스피는 전체 시장의 규모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말이고 시장을 움직일만한 힘이 있는 회사의 조합이라고 보시면됩니다.대부분의 대기업 - 삼성, sk, 현대 등이죠.코스닥은 아직 대기업은 아니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벤쳐 회사들이라고 보시면됩니다.코스닥상장사가 커져서 코스피로 상장이 옮겨질 수도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20
0
0
역사적으로 금리가 가장 높았을 때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에서 구한 전설적인 인물인 볼커가 있습니다.1978년 유가 폭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율이 13.3%나 되었으며 극심한 경제침체가 왔었습니다.볼커는 살해위협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15.4%까지 올리는 것을 단행하였으며 단 5년만에 미국을 악의 구렁텅이에서 구할 수 있었습니다.거기서 배울점은 경제 위기같은 버블이 터진 이상 터진 잔해를 치우는데 고통이 따를 수 밖에 없고 고통을 인내하고 빨리 탈출하는 방법은 고금리밖에 없다는 것입니다.분명 많은 회사들이 도산하고 가계부채가 급증하면서 많은 질타가 있을 것입니다.그러나 결국 빨리 해결하는 방법은 고금리로 화폐가치를 상승시키는 것 뿐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20
0
0
요즘 가격들이 다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코로나로 인해 너무 돈을 많이 풀어서 화폐가치가 떨어졌고 그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왔기 때문에 물가가 엄청나게 급등한 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19
0
0
향후 인플레이션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이미 고점은 찍었다고 보여집니다.한국도 5%대로 정점을 찍고 이제 4%대로 내려올 것입니다.이유는 선행지표인 수입물가, 생산자물가가 12월에 고점대비 -15%인 것을 감안하면 3개월 이후인 3~4월 부터는 3%중후~4%초까지 내려오면서 인플레이션이 점차 가라앉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대신에 고금리로 기업과 가계의 부채가 증가되고 소비심리가 약해져 경제가 많이 위축되고 고통받는 시간들은 6~10월까지는 계속 될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19
0
0
금리가 인상되면 왜 주식이랑 코인이 하락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인상 시엔 돈의 흐름이 주식과코인시장이 아닌 은행으로 몰리게됩니다.지금 뉴스만봐도 아실겁니다.이자가높으니 굳이 주식에서 리스크감수하면서 배당을 먹는 것보다 안전하게 높은 이자를 주는 은행으로 가는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19
0
0
기준금리에 따라서 예금이랑 대출금리가 어떻게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은행에서는 기준금리에 이윤을 붙여 시중금리를 만듭니다.그에 맞는 예,적금 상품과 대출상품을 만드는겁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19
0
0
우리나라 금리는 왜자꾸 오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국내 물가는 5%대로 적정 물가 인 2%대에서 한참 높은 수준입니다.물가를 잡기 위함과 더불어 강달러 기조를 막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금리인상입니다. 미국 금리를 역전할 수는 없는게 금리 4.5~5%씩 올리면 한국의 대부분의 회사는 도산하고 가계의 부채며 국채며 엄청나게 늘기에 경제위기에 들어가게 될 겁니다.이제 다음달 cpi 를 봐서 4% 진입하면 유지 기조나 0.25%정도만 올릴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경제 /
대출
23.01.19
0
0
주식은 선반영이니 한국 경제 저점이 지나간다고 생각하는거죠?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이제바닥은 거의나왔다고 보시면됩니다.개미들은 거의다 털리고 채권,은행으로 유동흐름이 많이간 상태라 여기서 조금정도는 빠질지언정 세계경제 붕괴가 아닌 이상은 지금이 최저점구간대라고 예상하고 있고 저도 2년정도보고 수익 낼만한 곳에 꾸준히 모으고 있습니다.아직은 리스크가 있으니 너무 많은 비중보다 조금씩 모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19
0
0
금리인상의 끝은 투자자산 상승의 시작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인상의 끝이라는 것은 사실 확정짓기 어렵습니다만금리인상 후 유지기조로 간다는 것은 그만큼 물가상승이 낮아졌다는 의미이고 좀 더 지켜보겠다라는 의미라서 말씀하시는 투자자산인 주식, 부동산 등이 약간의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그렇다고 다시 엄청난 반등이 있지는 않는게금리인상 후 유지이면 높은 금리에서 기업,가계의 부채가 계속 쌓이게 되니 어닝쇼크발생시엔주식에 오히려 더 폭락이 올 수가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19
0
0
기업이 하는 ESG경영은 무엇이며 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기존에는 기업은 오로지 자신의 이윤추구만을 목적으로 살아왔습니다.그러다보니 지구환경이 파괴되고 여러 사회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전세계적인 문제로 확산되고 있습니다.환경, 사회, 지배구조라 하여 비재무적인 부분까지도 경영에 힘써 전체 지구를 생각하면서 경영을 해야지만 우리의 미래가 있다는 점에서 ESG경영이 꼭 필요한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19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