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노조 가입 여부를 회사에서 알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노사관계는 사업장의 특성에 따라 판이하게 다르므로 일반화해서 답변을 드리기는 힘듭니다. 특정 직원이 노조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회사가 알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없습니다. 그러나 노조가 조합비 일괄공제제도(check-off)를 회사와의 단체협약 등에 근거해 시행하고 있다면 조합비를 공제하는 과정에서 노조 가입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또는 단체협약 등에 의해 조합원 명부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노조 설립 초기인 것으로 보이니 아직 일괄공제제도 등을 시행하지 않는다면 회사가 노조 가입 여부를 알 수는 없을 것입니다.또한 노조에 가입했다는 이유로 임금, 인사 등 근로조건에 있어 불이익을 입는다면 이는 노조법 상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므로 사용자는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노조의 규모가 커지고 교섭력이 강해지면, 회사에서도 결코 노조원이라는 이유로 불이익한 처분을 하기 힘들 것입니다. 회사와 실질적인 힘의 균형을 이루고 대등한 당사자의 입장에서 근로조건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조가 필요할 것입니다.[참고법령]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제81조(부당노동행위) ① 사용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이하 “不當勞動行爲”라 한다)를 할 수 없다.1.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 또는 가입하려고 하였거나 노동조합을 조직하려고 하였거나 기타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한 것을 이유로 그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행위제90조(벌칙) 제44조제2항, 제69조제4항, 제77조 또는 제81조의 규정에 위반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고용·노동 /
구조조정
21.03.18
0
0
퇴직시 언제부터 알려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자는 언제든지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며칠전에 통보해야한다고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다만 30일 전에 알려줘야 한다는 내용이 마치 법적 기준인것처럼 알려져 있으나, 이는 민법 제660조 2항의 내용을 오해한데서 비롯한 것으로 추측됩니다.회사에서 미리 통보하지 않았음을 근거로(근로계약서에 30일 전 통보 문구 등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고 이야기할 수 있으나, 이 또한 고의로 회사에 손해를 입혔다거나 중요한 발표 또는 프로젝트 등을 앞두고 퇴사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현실적으로 승소가 힘들 것입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8
0
0
15년전에 근무하고 퇴직했던 자가 퇴지금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바와 같이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입니다.퇴직금도 임금에 해당하므로, 발생일인 퇴직일로부터 3년이 지나면 퇴직금에 대한 청구권도 소멸하게 됩니다.참고로 금품청산의무 위반에 대한 공소시효도 완성됐으므로 15년이 지났다면 그 분이 법적으로 특별한 조치를 취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참고 법령]근로기준법제49조(임금의 시효) 이 법에 따른 임금채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소멸한다.제36조(금품 청산)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제109조(벌칙) ① 제36조, 제43조, 제44조, 제44조의2, 제46조, 제56조, 제65조, 제72조 또는 제76조의3제6항을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형사소송법제249조(공소시효의 기간) ①공소시효는 다음 기간의 경과로 완성한다. 1.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에는 25년2. 무기징역 또는 무기금고에 해당하는 범죄에는 15년3. 장기 10년 이상의 징역 또는 금고에 해당하는 범죄에는 10년4. 장기 10년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에 해당하는 범죄에는 7년5. 장기 5년 미만의 징역 또는 금고, 장기10년 이상의 자격정지 또는 벌금에 해당하는 범죄에는 5년6. 장기 5년 이상의 자격정지에 해당하는 범죄에는 3년7. 장기 5년 미만의 자격정지, 구류, 과료 또는 몰수에 해당하는 범죄에는 1년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7
0
0
퇴직금 364일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안타깝게도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할 시 비로소 발생합니다.즉 일수로 365일 이상 근로계약을 해야만 법정 퇴직금이 발생합니다. 실제로 퇴직금 지급을 회피하기 위해 11개월로 계약하거나 364일만 계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법정 퇴직금 발생 요건이 충족되지 않게 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7
0
0
일한지 일주일만에 다쳐도 산재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계약을 체결하였고 4대보험 중 산재보험을 취득했다면, 업무상 재해를 당할 경우 산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간이 짧아도 산재를 받는데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설령 4대보험을 아직 취득하지 않았다하더라도, 근로 시작일로 소급해서 가입하면 산재 신청 가능합니다.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하셔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고용·노동 /
산업재해
21.03.15
0
0
수영장 안전근무 종사자 휴게시간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합니다.해당 휴게시간 조항은 직종과는 무관하게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다만 근로기준법은 법상 최저기준이므로, 이 이상으로 휴게시간을 부여하는 것은 문제되지 않습니다.사업장 내 근로자의 근무 형태, 업무 특성, 노동 강도 등에 따라 휴게시간을 다르게 부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5
0
0
근로 계약서 없이 근무 하는것에 대해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용자에게는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 의무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별도의 사업장 관할 노동청 진정이 가능합니다.그리고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당연히 일 한 부분에 대해서는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근로 했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모아서 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진정을 넣으셔야 할 것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5
0
0
정규직 4년차 회사원인데 연차가 몇개있어야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자님의 사업장이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 1년간 80% 이상 출근시 다음해에 15개의 연차가 발생합니다.만약 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 입사 4년차에 발생하는 연차는 16개 입니다.그러나 5인 미만 사업장이라면 근로기준법상 연차유급휴가 규정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법정연차는 발생하지 않습니다(물론 사업장에서 임의로 주는 것은 문제없습니다).또한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은, 질문자님의 하루 일당분 금액(통상시급*1일소정근로시간)에 해당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5
0
0
급작스러운 근무지 변경은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통근이 곤란(통상의 교통수단으로 사업장의 왕복에 드는 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하게 되어 이직하는 것은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제한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고용보험빕 시행규칙 제101조제2항 별표2 참고). 즉, 다른 요건들(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이상,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취업하지 못한 상태일 것, 재취업을 위한 노력 등)을 충족하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할 것입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5
0
0
주5일근무 하루 결근을 2일로 처리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업장의 구체적 상황에 따라 다를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상황임을 가정하고 답변드립니다.주5일 근무를 하면 실제로는 주휴수당 1일치가 포함된 6일 근무에 대한 급여가 계산됩니다. 그런데 주휴수당은 일주일을 만근할 경우에만 발생하므로, 근로자가 자신의 사유로 결근하면 그 주의 주휴수당도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결국 결근일 1일+ 주휴수당 1일로 총 2일분에 대한 공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3
0
0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